506 761

Cited 0 times in

폐경전 및 폐경후 여성에 있어서 골밀도와 우울지수와의 상관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준-
dc.date.accessioned2015-11-21T06:36:09Z-
dc.date.available2015-11-21T06:36:09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0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연구의 목적 및 현재위치 : 의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는 골다공증은 여러 약제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완벽하지 못한 실정이다. 그래서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하며, 위험인자의 조기발견이 무엇보다도 요구된다.골다공증의 위험인자 중 최근에 대두되는 것이 우울증이다. 많은 연구에서 우울증과 골다공증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는데, 그 결과 우울증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골밀도가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하지만, 지금까지 골다공증과 우울증에 관한 연구들은 표본 수가 작거나, 여러 위험인자들을 보정하지 않은 상태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폐경 전 여성과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와 우울증과의 상관관계를 여러 위험인자를 보정한 후, 독립적으로 그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연구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서울시내 모 대학병원 건강 검진실 및 가정의학과를 내원하여 골다공증 검사와 우울증에 대한 설문지에 답한 폐경전 여성(126명) 및 폐경후 여성(92명)을 대상으로 SDS지수와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혈압, CRP, 키, 몸무게, 운동, 술, 흡연등의 혼란변수를 같이 측정하였으며 SDS지수 50을 전후로 각 변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보았으며 이러한 변수를 교정하여 독립적인 상관성을 보려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 연구에 참여한 모든 여성에서 SDS지수 50을 전후로 골밀도의 차이가 있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모든 인자를 보정한 후에도 폐경전 여성에서는 몸무게, SDS지수가 독립적인 상관관계(P=0.018)로 , 폐경후 여성에서는 나이, 몸무게, SDS지수 순으로 독립적인 상관관계(P=0.011)로 나타났다.결론 : 폐경전 및 폐경후 여성에서 우울증과 골밀도와는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따라서 우울증을 가진 여성에서 골밀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영문]Background : We have many drugs for osteoporosis which have many problems in medical field, but not definitive one. So, prevention is important. Recently, there''''''''''''''''s many articles that depression is one of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ndependent relation between the two areas, contrasted to many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depression of women in both pre- and postmenopause.Methods : I measured SDS(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nd bone mineral density with two groups, 162 women in the premenopause and 92 women in the postmenopause, visiting to the health care center and out patient clinic of the family medicine in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Jan. 2001 through Sep. 2003. I measured confounding factors of both groups, such as the blood pressure, CRP, heights, weights, and how much in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I also tried to find the differences of variables between before and after 50 in SDS . I used multiple regression in the analysis of the independent relation with correcting those variables.Results : There''''''''s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50 in SDS of all participated women. After adjusted by variables, Premenopause women show the independent interrelation, P=0.018, between weights and SDS in the order of weights and SDS, while those in postmenopause shows P=0.011 in the order of ages, weights, and SDS.Conclusion : There is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e women. It means the depressed women need to be much more concerned for bone mineral densit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폐경전 및 폐경후 여성에 있어서 골밀도와 우울지수와의 상관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e wome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in J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