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골격정상군에서의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연령적 변화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최해리윤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6:31:56Z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6:31:56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345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골격성 I급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 160명(남자 80명, 여자 80명)의 측모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를 치축을 기준으로 계측하여 연령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전치부 치조골의 협설측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여자의 CEJ 하방 2mm 부위를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2. 하악전치부 설측 치조골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여자의 CEJ 하방 2mm 부위를 제외하고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3. 하악전치부 협측 치조골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하악 이부 최대 풍융부의 두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에 있어서 수평적으로 I급의 골격형태이면서 수직적으로 정상인 환자에서는 성인보다는 성장기환자에서 하악전치의 설측치조골의 두께가 더 두꺼워 발치치료에서와 같은 하악전치의 설측이동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By using the cephalometric radiographs of 160 skeletal class I patients (male 80, female 80) with normal vertical growth pattern,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hanges of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thickness by measuring the buccolingual thickness of mandibular alveolar bone on the basis of root ax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1. As the age increases, both the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buccolingual width of the mandibular anterior alveolar bone except CEJ area of female. 2. As the age increases, both the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idth of mandibular anterior lingual alveolar bone except CEJ area of female. 3. As the age incre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mandibular anterior buccal alveolar bone. 4. As the age increa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dth of maximum prominence of mandibular symphysis. From above study, it is concluded that Korean children whose growth pattern is horizontally skeletal class I with vertically normal growth pattern have greater mandibular anterior lingual alveolar bone width than Korean adul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more profitable to allow lingual movement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treatments with tooth extractions.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골격정상군에서의 하악 전치부 치조골 두께의 연령적 변화 | - |
dc.title.alternative | Changes of mandibular anterior bone thickness in normal skeletal group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e, Harry Yoon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