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8 769

Cited 0 times in

남한내 북한 이탈 주민의 건강 상태 및 의료 이용 만족도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health utilization satisfaction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uthors
 김경철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2000년 이후 북한 이탈 주민의 남한 이주가 급증하면서 이와 함께 이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적응 주요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건강 문제가 이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감안 할 때 이들에 대한 건강 상태 및 의료 이용 양상에 대한 구체적이고 통합적인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에 정착한지 만 2년 이상 된 북한 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이들의 건강상태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의료 이용 만족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남한 내 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1998년도 5월부터 2001년도 3월까지 입국한 사람들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1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훈련된 면담자를 통한 설문 기입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주관적 건강 상태를 종속변수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각 관련 요인에 따른 건강 상태의 평균값을 t-test 및 one way ANOVA로 비교하였으며 요인 간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자는 남자 85명, 여자 66명으로 이들의 평균 연령은 37.63세였고, 이들의 남한 거주 기간은 36개월에서 60개월 사이로 평균 48.17개월이었다.

둘째, 주관적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46.34%가 ‘좋다’ 혹은 ‘매우 좋다’라는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는데 이는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남한 주민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긍정적 대답이 58.8%인 것에 비해 낮은 편이다. 과거 2년 전과 비교한 현재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좋아졌다’ 혹은 ‘매우 좋아졌다’고 긍정적으로 대답한 비율은 전체의 22.17%로 현재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비해 더 낮았다. 남한 거주 기간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는 거주 기간이 48개월 이상인 경우 48개월 미만인 그룹보다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낮았다. 그 외 주관적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종교, 만성 질환, 우울증 여부 등이 있었다. 즉 종교가 있는 그룹에서 주관적 건강 상태는 높았으며, 만성 질환 및 우울증이 있는 그룹에서 주관적 건강 상태는 낮았다. 나이, 교육, 결혼, 동거여부 및 경제상태, 입원여부, 건강행위관련 변수들은 주관적 건강 상태와 연관이 없었다.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 상태는 단변량 분석과 다른 인구학적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남자에 비해 여자가 낮았으나 모든 변수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북한 이탈 주민의 의료 이용에 대한 만족도에서 긍정적인 대답은 의사의 태도(65%), 치료의 질(59.58%), 의료비용(54.78%), 병의원 환경(86.61%), 행정절차 (68.49%)등으로 긍정적인 대답이 모두 50%를 넘었다.

남한 거주 기간에 따른 의사의 태도, 치료의 질, 병의원 환경, 행정절차의 만족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의료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48개월 미만인 군보다 48개월 이상인 그룹에서 낮게 나타나 남한 거주 기간이 오래될수록 의료비용에 대한 만족도는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정착한 후 만 2년 이상이 된 북한 이탈 주민들의 주관적 건강 상태가 2001년도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의 남한 주민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비해 좋지 못한 편이며, 거주 기간이 오래될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의료 기관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으나 거주 기간이 길수록 의료비용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볼 때 이들에 대한 여러 대책이 필요하겠다. 또한 성별, 만성 질환, 우울증, 종교 등이 주관적 건강 상태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점에 비추어 이들의 건강 상태에 대해 보다 전인적인 이해와 세심한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As increasing numbers of North Korean Refugees, their adaptation has become social issues. Especially health problems affect to their adaptation, so that it is needed to investigate more concrete and integrated study on their health and health util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utilization satisfaction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s been in South Korea more than 2 years.

This study employed a survey design using a interview method. A total 151 North Korean refugees who has come in South Korea between 1998 May to 2001 March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using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among 85 men and 66 women was 37.63 years old, the average resident periods is 48.17 months.

Second, The positive subjective health status is 46.34% which is less to the 2001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s one, 58.8%.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group more 48 month residental period is lower than the group less 48 months. Another factors which affect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is the religion, chronic morbidity, depression. Sex is an affecting factor according to the univariate analysis but not to the multiple regression.

Third, the satisfaction rate to the health utilization is 65% (doctor''s attitude), 59.58% (medical quality), 54.78% (cost), 86.61% (hospital environment) and 68.49% (administration).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rate according to the residental periods is not significant except the cost that is lowering as the time pass aw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make the detailed policy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is struggling to adapt and survive in South Korea.
Files in This Item:
T0084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