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4 748

Cited 0 times in

측두골 컴퓨터 단층 촬영을 이용한 측두골 함기화의 분류

Other Titles
 Classification of temporal bone pneumatization by computed tomography 
Authors
 한수진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측두골은 함기화 되어 있어 공명, 음향 분산 등 소리의 전달을 돕고 두개 무게를 감소시키며 외부 온도변화로부터 내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특히 중이강에 대하여 공기 저장소 역할이 있어 이관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중이강의 음압 형성을 방지하여 고막의 변성과 중이염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측두골 함기화 정도는 중이염의 발생 및 진주종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또한 중이 수술 후에도 그 예후를 결정하는 주요인자이다.

그동안 측두골의 함기화를 평가하려는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으나 전체 측두골의 함기화를 평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방사선학적인 검사의 발달로 실제 유돌 봉소의 부피를 구할 수 있게 되었으나 함기화를 평가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아직 확립되지 못한 실정이며 임상적으로 많은 환자의 평가에 손쉽게 이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단층 촬영 후 3차원 영상 재구성을 이용하여 실제 측두골의 부피값을 구하고, 임의로 설정한 해부학적인 구조를 기준으로 유돌 봉소의 발달 정도를 등급으로 나누어 전체 측두골의 함기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컴퓨터 단층 촬영의 추침복합체가 아이스크림 콘 모양으로 관찰되는 축상면(axial view)에서 S상 정맥동의 전후방 경계를 기준으로 함기화를 평가한 경우 각 등급 간 측두골 유돌 봉소의 전체 부피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미로를 기준으로 내이주위봉소를 평가하거나 하행경동맥을 기준으로 추체 봉소를 평가한 경우는 전체 측두골의 함기화를 반영하는 데에 부적절하였다. 또한 추침복합체가 보이기 시작하는 단면에서 가장 큰 유돌 봉소인 유돌동의 단면적도 전체 측두골의 부피값과 통계학적으로 무관하였다.

결론적으로 중이염 환자의 단층 촬영 결과를 판독할 때 추침복합체가 보이는 단면에서 S상 정맥동을 기준으로 유돌 봉소의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전체 측두골의 함기화를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는 수술 전 환자의 함기화 평가를 손쉽게 가능하게 하여 유양돌기절제술을 계획하고 술 후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The pneumatized temporal bone has many diverse functions such as reception of sound, resonance, acoustic dissipation, insulation, lightening of the weight of the skull, protection from external violence. Especially, the air reservoir function claims that during eustachian tube dysfuction, squamomastoid pneumatization provides the reserve volume of air that prevents severe negative pressure from developing in the middle ear due to mucosal air absorption. Various methods of temporal bone imaging have been designed to investigate mastoid pneumatizat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evaluation of temporal bone pneumatization easily and setting up objective criteria. In this study, the volume of temporal bone air cells was measured by volume rendering technique in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and grouping of the temporal bone pneumatization by the arbitrary criteria. And then,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entire volume among the groups. Grouping was done on the basis of the sigmoid sinus at the level of incudomalleolar joi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tire volume of temporal bone statistically. Grouping on the basis of the labyrinth and the descending carotid artery was insignificant. Fur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ntrum and the entire volume of the temporal bone. In conclusion, we can estimate the degree of the pneumatization of temporal bone easily by evaluating of the air cells around the sigmoid sinus at axial CT imag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planning tympanomastoidectomy and improving the postoperative prognosis of the patients of chronic otitis media.
Files in This Item:
T0084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Han, Su Jin(한수진)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