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9 866

Cited 0 times in

모유수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uthors
 황원주 
Issue Date
2004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모유수유의 결정요인에 관한 주요 가설들을 검정함으로서, 낮은 모유수유실천 수준에서 모유수유 결정요인을 사회·경제적 특성, 산과적 특성 및 문화가치관 특성에 따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2000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 1월부터 2000년 6월(30개월)사이에 최종 출생아 및 산모를 대상으로 기술적인 분석을 통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월령별 모유수유율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모유수유 실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짓분석을 이용하였고, 모유수유 기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당시 모유수유 중인 경우를 포함하여 비례위험모형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가설검정을 하였다.

모유수유 실천의 결정요인을 로짓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분만형태 및 출생아 체중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현 취업여부, 가구원 1인당 월평균소득, 분만장소 및 출생아 체중이 유의하게 나왔으나 다른 요인을 통제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분만형태 및 출생아 체중만이 유의하게 나왔다. 이는 모유수유 실천에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 산과적 요인이 모유수유 실천에 매우 주요한 결정요인으로 파악된다.

모유수유 기간의 결정요인을 생존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사회·경제적 특성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모유수유 기간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 취업여부가 모유수유 조기중단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나 모유수유 기간에 산과적 특성보다 사회·경제적 특성인 교육수준 및 현 취업여부가 가장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산모의 나이는 모유수유 실천 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유수유 기간 결정에 있어서 35세 이상에서는 모유수유 기간이 길게 나타났다. 한편 출생아 체중, 출생아 성별, 출생순위, 분만형태, 분만장소는 모유수유 기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문화가치관 특성에서 가구의 세대형태가 모유수유 기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세대 이상의 가구형태에서 모유수유 기간이 길다는 것은 세대 내에 모유수유 지지자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모유수유 의미가 새롭게 이해되어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모유수유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천에 미치는 요인뿐만 아니라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산과적 및 문화가치관 측면에서 모유수유 결정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모유수유에 대한 신념이나 태도와 같은 인지적 측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성공적 모유수유 지속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모유수유 결정요인을 설명하는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를 잘 파악하여 설명할 수 있는 출생코호트별 추적연구(longitudinal study)를 통한 체계적인 추후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of determining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concern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values by investigating the previous article and testing the major hypotheses because currently the breastfeeding rate and duration is so low.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Year 2000 Korea National Fertility Survey carried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particular, the last babies born from January, 1998 to June, 2000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as the main data for this study.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babies and the breastfeeding rate per birth month. Hypotheses were tested by the statistic significance using logit analysis for the factors determining the breastfeeding rate and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survival analysis as well as logit analysis for the factors determining the breastfeeding duration. The breastfeeding mothers were also included in the surviv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breastfeeding rate by logit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 of delivery and birth weight are significant. The current occupation status, monthly income per person in family and delivery place were also significant by univariate analysis, but only the type of delivery and birth weight are significant in case controlled to the other factors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obstetrical characteristics is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characteristics among the factors determining breastfeeding rate.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the factors to determine the breastfeeding duration by survival analysis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shorter the breastfeeding duration. An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occupation statu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early termination of breastfeeding. Although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similar to the previous research, what the education level and the current occupation status i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is very observable to public. The maternal age isn''t significant to the determinants of the breastfeeding rate, but it is significant to the determinants of the breastfeeding duration among the women more than 35 years old. On the other hand, birth weight, sex, birth order, the type of delivery and birth place are not influence the breastfeeding duration.

Only the types of family generation in cultural values is associated with the breastfeeding duration, for example it is most likely to include the supporter in the family if the breastfeeding duration were longer in the types of family more than three generations.

We tried to research what are the determinants on the breastfeeding duration as well as the breastfeeding rate to refresh the meaning of the breastfeeding. We analysed in aspects of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bstetrical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values characteristics, so we need the further research in side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an attitude and belief to find a strategies for encouraging mothers to breastfeed longer successfully. Finally, this analysis suggests the necessities of systemic ongoing research like the longitudinal study by birth cohort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explaining the factors of determining the breastfeeding.
Files in This Item:
T00837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18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