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5 553

Cited 0 times in

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광희-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7:33Z-
dc.date.available2015-11-21T06:27:3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182-
dc.description의과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구개 저작 점막은 연조직 이식을 동반하는 치주 및 임프란트 수술시 조직 공여부로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를 측정, 평가하기 위하여 전신적, 치주적으로 건강한 남녀 각각 20명씩, 총 4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상악 견치, 제 1소구치, 제 2소구치, 제 1대구치, 제 1대구치와 제 2대구치의 치간 및 제 2대구치 부위의 유리 치은 변연에서 정중 구개 봉합쪽으로 각각 3, 6, 9, 12mm 떨어진 지점을 결정하여 총 24부위에서 조직 두께를 측정하였다. 성별 비교, 각 치아 부위별 비교 및 유리 치은 변연에서 정중 구개 봉합쪽 으로 3, 6, 9, 12mm 떨어진 지점에서의 비교 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 비교 시 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치아 부위별 평균치 비교 시 제 1대구치 부위(M1)를 제외하고 견치 부위(Ca)에서 제 2대구치 부위(M2)쪽으로 갈수록 수치가 증가되는 양상이었다. 견치(Ca)와 제 1대구치 부위(M1)는 타 부위에 비해 얇았으며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유리 치은 변연으로부터 정중 구개 봉합쪽으로 갈수록 측정치가 증가 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구개에서 연조직을 채득 시 제 1대구치 부위의 전방부인 제 1소구치 및 제 2소구치 부위가 공여부로서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며 구개 신경 및 혈관 다발의 주행에 관한 해부학적인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Palatal masticatory mucosa was widely used as a donor site in periodontal and implant surgery. but there were relatively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thickness of the palatal mucosa in dentate su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in korean subjects by direct clinical technique. Fourty systemically and periodontally healthy subjects(20 males:20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bone sounding method using a periodontal probe with minimal anesthesia and a prepared clear acrylic stent was utilized to assess the thickness of palatal mucosa at 24 measurement points defined according to the gingival margin and mid palatal su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o gender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2.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increased from canine to second molar area(with the exception of the first molar area). canine and first molar areas were significantly thinner than other areas(P〈0.05). 3.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ites farther from the gingival margin towarding the mid-palate(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premolar area appears to be the most appropriate donor site for soft tissue grafting procedur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구개 저작 점막의 두께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Kwang Hee-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