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6 855

Cited 0 times in

자가 지방이식의 생존률에 대한 비교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준-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5:18Z-
dc.date.available2015-11-21T06:25:1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9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최근 들어 지방이식은 안면부의 미용이나 재건 및 체형교정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얼굴 윤곽술에 적용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시간이 지날수록 이식된 지방의 흡수가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식된 지방의 흡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방을 채취 할 때 지방세포의 변형을 막아야 하며 풍부한 혈행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이식된 지방세포의 변화를 조직학적 및 물리학적인 변화를 연구하여 이식지방의 흡수를 줄이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12마리의 흰 숫토끼를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지방이식을 시행하였다. 토끼의 등을 수혜부로 정하고 네 부분으로 나눈 후 1구역은 소엽구조를 보존한 지방을 이식하였고, 2구역은 이미 실리콘판으로 만들어 놓은 피막 안에 소엽구조를 보존하여 지방을 이식하였다. 3구역은 지방 조직을 링거액에 담근 후 이식하였으며, 4구역은 3000rpm으로 4분간 원심분리 후 이식하였다. 수술 1개월, 3개월, 6개월 후 각각의 부위에서 조직 절편을 채취하여 지방세포의 변화와 생존을 비교하고 각 구역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술 6개월 후 주입한 지방의 생존량을 측정하고, 통계학적 처리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실리콘 판을 넣었던 모든 토끼에서 수술 3주 후 피막이 관찰되었다. 이식지방의 생존량은 2구역이 1.92±0.85g으로 가장 많았으며 3구역이 0.45±0.43g 으로 가장 적었다. 1구역은 1.08±0.71g으로 4구역 1.13±0.90g보다 적었다. 전체적인 평균생착률은 39.6%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방이식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판으로 피막을 만든 후 지방이식을 한 경우 다른 방법들에 비해 생존율이 높았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지방이식에서 가장 큰 문제인 흡수율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영문]Fat grafts are frequently used for contour restoration of the face. Satisfactory results can be achiev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long-term results are usually disappointing both for surgeons and for the patients. The main problem is resorption of the graft. Several different procedures have been described to minimize this matter. To overcome fat resorption, we tried fat grafts under various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histologic and physical changes of the transplanted fat cells in various environments. Thirteen male New Zealand rabbit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cipient sites were prepared on the back of the rabbi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regions. In area I, fat tissue with preserved lobular structure was transplanted. In area II, fat tissue with preserved lobular structure after partial excision of the capsule formed around the silicone sheet was transplanted. In area III, fat tissue after rinsing with lactated Ringer''s solution was transplanted. In area IV, fat tissue after centrifugation was transplanted.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se sites at the end of the first, third and sixth month. After the operation, we observed area II with preserved lobular structure and capsule being formed at 3 weeks having the best result for its volum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examin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자가 지방이식의 생존률에 대한 비교연구-
dc.title.alternativeComparative study of survival of autologous adipose tissue graf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ng J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