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59

Cited 0 times in

인배자와 태아에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연용흠-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8:12Z-
dc.date.available2015-11-20T06:08:12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525-
dc.description치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측두하악관절은 인체의 다른 윤활관절과 달리 치아의 교합관계에 의해 운동이 조절될 수 있는 양측성의 복합 윤활관절이다. 따라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육 이상은 얼굴의 심미적 문제 뿐 아니라 저작기능의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의 기능장애는 치아의 교합관계 및 하악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치의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측두하악관절은 계통발생학적인 면에서 볼 때 하등 척추동물의 원시관절을 대치하는 새로운 관절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발생 과정 중에 반복되어 귀(耳) 증상이 측두하악관절장애와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선천성 악안면기형의 임상적 치료법은 기형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기형의 정도는 측두하악관절의 발생 과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따라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 시기 및 순서는 측두하악관절과 연관된 악안면기형, 하악골성장에서의 역할, 측두하악장애의 복합증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간에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은 1900년대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배자기 혹은 태아기에 부분적으로 초점을 두었거나 특정 구조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이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인 측두하악관절의 형태를 이해하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나아가 실제 임상분야에서 측두하악관절 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한국인 배자 18예 및 태아 18예에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멕켈연골은 발생 17기에 처음 출현하였으며, 추골과 침골 사이의 원시관절은 발생 20기에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2. 하악과두는 발생 20기에, 측두골 성분은 발생 21기에 처음 관찰되었다. 3. 관절강은 발생 10주 초에 하관절강이, 발생 10주 말에 상관절강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상관절강이 하관절강보다 넓은 부위로 빠르게 확장되었다. 4. 하악골의 골막내골화는 발생 20기에 시작되었으며, 과두에서의 연골내골화는 발생 13주에 시작되었다. 5. 저작근은 발생 19기에 처음 출현하였으며, 개구근의 분화가 발생 21기에 관찰되었다. 6. 관절원판 원기는 발생 21기에 처음 출현하여 발생 10주에 관절강이 형성되면서 양쪽 경계를 갖는 분명한 구조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측두하악관절을 이루는 구조들은 발생 20기에 출현하여 발생 10주까지 빠르게 발생이 진행되었고, 이후 계속적인 분화가 일어 났으며, 저작근 및 하악골체, 하악과두, 하악와 및 관절원판, 관절강, 관절낭의 순서로 발생하였다. 측두하악관절도 다른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자기 및 태아기 초기에 활발한 발생이 일어났다. [영문]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was studi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Eighteen human embryos from stage 11 to stage 23 and eighteen human fetues from 9 weeks to0 29 weeks of fetal age were used in this study. The embryos had been staged according to Carnegie's 'developmental stages'. The age of fetuses were assumed according to crown rump length and foot length.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First evidence of Meckel's cartilage is seen in the stage 17 embryo. The primary TM joint between malleus and incus were observed in the stage 20 embryo. 2. The condylar blastema was present in the stage 20 embryo. The temporal blastema was present in the stage 21 embryo. 3. The inferior joint cavity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10th week. The superior joint cavity appeared at late of 10th week. The expansion of superior joint cavity was more rapid than expansion of inferior joint cavity. 4. The intramembranous ossification of the mandible is first noted in the stage 20 embryo. The endochondral ossification of condyle is first noted in the 13th week of fetal age. 5. The blastema of masticatory muscles was identified in the stage 19 embryo and histodifferentiation of masticatory muscles was identified in the stage 21 embryo. 6. The blastema of articular disc was first identified in the stage 21 embryo and the upper and lower border of articular disc were distinct by the 10th week of fetal age by formation of joint cavity. In summary, the apparatus of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was first noted in the stage 20 embryo and rapidly developed until the 10th week of fetal age. After the 11th week of fetal age, the histodifferentiation takes place. The develop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n sequence are masticatory muscle, mandible, condyle, mandibular fossa, articular disc, joint cavity, and the joint capsule. In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human temporomandibular joint were active during embrionic period and early fetal ag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인배자와 태아에서 측두하악관절의 발생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morpholog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s in human embryos and fetu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eon, Young Heum-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