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00

Cited 0 times in

수간호원의 리더쉽 유형과 일반 간호원의 수간호원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명하-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6:04Z-
dc.date.available2015-11-20T06:06:04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444-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수간호원의 리더쉽 유형을 밝히고 간호원들이 어떠한 리더쉽 유형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사회의 변천에 따라 건강과 간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달라졌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현대 간호는 모든 인간의 건강요구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임상간호는 환자의 간호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간호원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감이 없을 때는 효율적인 간호업무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간호원이 간호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가지고 간호활동을 할때 개인적·직업적인 안정을 갖게되어 환자의 간호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수 있다.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간호활동은 병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 병동의 책임자는 수간호원으로, 수간호원은 간호활동의 모든 단계에 대한 관리와 간호원이 수행하는 활동을 지시·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간호원은 환자간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과정에 있어서 수간호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된다. 그러므로 수간호원의 리더쉽 능력은 간호원의 사기와 만족도 그리고 환자간호의 목적달성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이에 저자는 수간호원의 리더쉽과 간호원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므로써 간호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서 전문직 간호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의 대학부속병원의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원 (292명)을 대상으로 하여 리더쉽 행동과 리더에 대한 만족도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3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1980년 11월 12일부터 20일까지 9일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간관계 중심적인 수간호원 하에 있는 간호원들이 업무중심적인 수간호원 하에 있는 간호원들 보다 그들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는 제 1가설이 채택되었다. (t=3.268, p<0.01) 2.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는 수간호원의 리더쉽 유형에 있어서 인간관계와 업무 중심형 (Ⅰ형), 인간관계 중심형 (Ⅱ형 ), 업무 중심형 (Ⅲ형), 방임형 (Ⅳ형)의 순으로 나타날 것이다.」는 제 2가설은 채택되었다. (F=9.810, p<0.001) 3.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는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는 제 3가설은 채택되었다. (r=.2624, p=0.001) 4 .수간호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리더쉽 유형과 수간호원의 만족도에 관한 분석에서는 수간호원의 나이, 수간호원으로서의 경력은 리더쉽 유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간호원과 같이 일하는 간호원 수는 리더쉽 유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리더쉽 유형을 결정짓는 요소는 아니었다. 또 수간호원의 나이, 경력, 같이 일하는 간호원 수는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5.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 요인과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분석에서는 종교를 가진 간호원이 갖지 않은 간호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t=3.40, p<0.001), 전문학교를 졸업한 간호원이 4년제 간호학과를 졸업한 간호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t=2.13, p<0.05) 그리고 간호직에 대한 근무 예정 기간, 간호직에 대한 의미, 간호업무의 정의에 대한 확실성, 간호 업무량, 봉급, 간호업무에 필요한 물품과 시설, 간호행정가의 태도, 동료, 간호원과의 관계, 의료팀의 협조, 간호원에 대한 환자의 태도, 간호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r=.2150∼.5791, p=0.001) 6.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에 상관관계를 보인 제 변수들을 통제한 경우에도, 모든 단계에서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r=.2150∼.2893, p=0.001) 7.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하고 뚜렷한 요인은 간호직에 대한 의미, 간호 업무량, 간호직에 대한 근무 예정기간, 간호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 간호업무에 필요한 물품과 시설, 종교 등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7개의 요인 들은 직무만족도의 50%을을 설명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업무 중심적인 수간호원 보다는 인간관계 중심적인 수간호원 하에 있는 간호원들이 그들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수간호원의 리더쉽을 4유형으로 분류했을 때는 인간관계와 업무 수행에 모두 역점을 두는 리더쉽 유형 하에 있는 간호원들 이 그들의 수간호원에 대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또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호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하고 뚜렷한 예측요인은 간호직에 대한 의미, 간호 업무량, 근무 예정기간, 간호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 간호업무에 대한 필요한 물품과 시설, 종교였다. 따라서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뚜렷한 요인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므로 간호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간호업무의 효율성 증진과 전문직업적발전을 꾀하기 위해서는, 수간호원은 인간관계와 업무 수행에 모두 역점을 두는 리디쉽 형태를 취하여 간호원의 수간호원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leadership style of the head nurse and to find out what sort of leadership style staff nurses are most satisfied with and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As society has changed, the demand for improved health care and nursing care has increased. To keep up with this kind of social need, modern nursing care is seeking to efficiently satisfy the health care needs of human beings. The goal of clinical nursing is to satisfy nursing care needs of patients, however when the staff nurse is not satisfied with her job, one can hardly expect her to give good nursing care. Therefore efficient nursing performance depends greatly on the satisfaction of the staff nurse with her job. The role of a head nurse is to supervise all steps of nursing activity and to directly control the activities performed by staff nurses. So in every aspect of nursing care the staff nurse is directly influenced by the head nurse. In this respect, the leadership ability of a head nurse will effect staff nurses' satisfaction & the giving of good nursing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to help in developmen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the nurse by determining the leadership style of the head nurse which is satisfying staff nurses and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292 staff nurses working on general wards in 2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This data was obtained by means of a questionnaire from Nov. 12th ∼ Nov. 20th, 198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standardized measuring scales for measurement of leadership behavior,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est of Hypotheses: (a) Hypothesis Ⅰ: 「Staff Nurses working under the head nurse who is human relations-oriented will be more highly satisfied with the head nurse than those working under the task-oriented one」was accepted. (t=3.268, p<0.01) (b) Hypothesis Ⅱ: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will be in the following order: human relation & task-oriented style, human relations-oriented style, task-oriented style, non-caring style.」 was accepted. (F=9.810. p<0.001) (c) Hypothesis Ⅲ: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job satisfaction」 was accepted. (r=.2624, p=0.001). 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d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leadership style of the head nurse and the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The leadership style of the head nurse was not related to her age or years of experience. The leadership style of head nurse and the number of staff nurses working under the head nurse was satistical significant, but there was no consistent leadership style pattern. The age, years of experience of the head nurse and the number of staff nurses working under the head nurses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to the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3. Relationship between the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which can influence job satisfaction: Nurses who had a religious faith had more job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no religious faith.(t=3.40, p<0.001) And graduates of three year nursing schools had more satisfaction than graduates of college programs.(t=2.13, p<0.05) Factors whic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ce of nursing work, expected working period, degree of defeniteness of nursing work, nursing workload, salary, required equipment and facilities for nursing care, attitude of nursing administors, relationship with peers, cooperation of medical team, patient's attitude toward nurse, social recognition of nurse. (r=.2130∼.5791, p=0.001) 4. Controling each variable which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taff suese's job satisfaction, the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was pr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r=.2893, p=0.001). 5. Analysis of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Seven factors such as significance of nursing job, nursing workload, expected working period, social recognization of nurse,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required equipment & facilities for nursing care and religion account for 50% of the staff nurse's job satisfac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수간호원의 리더쉽 유형과 일반 간호원의 수간호원 및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leadership of the head nurse and staff nurses' satisfaction with the head nurse and their job satisfact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92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yung H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