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vitro study skin penetration of benzidine using excised rat skin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벤지딘과 벤지딘 염산염, 벤지딘계 염료는 피부가 중요한 침입 경로임이 알려져 있지만 피부 흡수 속도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흰쥐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사용해 in vitro 방법으로 벤지딘과 벤지딘 염산염의 피부 투과 속도를 구하고, 벤지딘계 염료인 Direct Black 38의 피부 흡수 가능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벤지딘의 피부 투과 속도는 250, 500, 1000 ㎍/㎖ 농도에서 각각 15.57 ㎍/hr/㎠ (84.49 nmole/hr/㎠), 29.47 ㎍/hr/㎠ (159.96 nmole/hr/㎠), 47.12 ㎍/hr/㎠ (255.77 nmole/hr/㎠) 속도를 보여 벤지딘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 투과 속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2시간 동안 투과된 벤지딘은 22.92 ∼ 30.76 %이었다. 벤지딘은 투여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시간별 투과된 양과는 차이가 있었다. 벤지딘 염산염의 피부 투과 속도는 250, 500, 1000 ㎍/㎖ 농도에서 각각 8.92 ㎍/hr/㎠ (20.22 nmole/hr/㎠), 9.64 ㎍/hr/㎠ (21.85 nmole/hr/㎠), 10.22 ㎍/hr/㎠ (23.15 nmole/hr/㎠) 속도를 보여 벤지딘 염산염은 투여된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시간별 투과된 양과는 차이가 없었다. 12시간 동안 벤지딘 염산염은 7.02 ∼ 13.16 %가 투과되었다.
벤지딘과 벤지딘 염산염의 투과 속도의 차이는 벤지딘은 이온 상태가 아니라 분자 상태로 존재하고 분자량도 작고 물에 약간 녹지만 지용성에 가깝기 때문에 벤지딘이 밴지딘 염산염보다 더 빨리 피부로 투과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미생물에 의한 벤지딘계 염료의 환원은 혐기적인 상태에서만 가능하다고 보고되어 있고 피부 세포나 피부 표면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에 의해 아조계 염료가 벤지딘으로 환원되어 흡수된다는 것은 피부가 호기적인 상태라는 점으로 보아 피부로 직접 투과는 어려울 것이라 생각된다. 벤지딘계 염료에 대한피부 흡수의 가능성에 대하여서는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고, 앞으로는 in vivo 방법과 in vitro 방법을 병행한 피부 투과 속도 측정을 위한 모델의 개발과 적용에 대한 피부 흡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Although major routes of absorption for benzidine and benzidine dihydrochloride are known to be skin, the skin penetration rates for benzidine and benzidine dihydrochloride are not known at all.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n effective management far worker's health and workplace environment, we used the epidermis of Sprague Dawley rat to obtain the skin penetration rates far benzidine ana benzidine dihydrochloride, and studied the possibility of the skin penetration for Direct Black 38.
The penetration rates of benzidine at 250, 500 and 1000 ㎍/㎖ were 15.57 ㎍/hr/㎠ (84.49 nmole/hr/㎠), 29.47 ㎍/hr/㎠ (159.96 nmole/hr/㎠), and 47.12 ㎍/hr/㎠ (255.77 nmole/hr/㎠) respectively. The penetration rates of benzidine showed a concentration dependent increase, and 22.92 ∼ 30.76 % of benzidine penetrated within 12 hours. The penetration rates of benzidine dihydrochloride at 250, 500,1000 ㎍/㎖ were 8.92 ㎍/hr/㎠ (20.22 mnole/hr/㎠), 9.64 ㎍/hr/㎠ (21.85 nmole/hr/㎠), and 10.22 ㎍/hr/㎠ (23.15 mnole/hr/㎠) respectively. The penetration rates of benzidine dihydrochloride did not show a concentration dependent increase as show in benzidine. Because benzidine is more lipid soluble and benzidine dihydrochloride is more water soluble due to its ionization, benzidine penetration much faster than benzidine dihydrochloride. The reduction of benzidine dyes bas been known to be only possible in an anaerobic condition. The penetration of benzidine through skin by benzidine dye reduction which is catalyzed by microorganisms on the skin may not be possible due to aerobic nature of the skin. More detailed studies on the possibility of skin penetration for benzidine dye should be d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