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61

Cited 0 times in

여드름의 인지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n acne : 1개 여자전문대학 중심으로 
Authors
 양현옥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여자전문대학 학생의 여드름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여 미용에 관련되는 내용을 학습하고 있는 학생과 미용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에게 여드름의 관리를 적절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수원시에 있는 1개 여자 전문대학의 13개 학과에서 집락표본을 추출하여 399명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질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1996년 5월 1일부터 5월 3일까지 3일간 이었다. 조사에 사용된 질문지의 구성은 조사 대상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문항, 여드름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문항, 그리고 여드름의 관리 행위에 관한 문항 등으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을 여드름이 있는 군과 여드름이 없는 군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 연령 분포는 18세에서 20세가 254명(63.7%), 21세에서 24세가 133명(33.3%)이었으며, 25세 이상이 12명(3.0%)이었으며, 여드름이 있는 군이 264명(66.2%),여드름이 없는 군이135명(33.8%)의 분포를 보였다. 여드름에 대한 정보 습득은 신문이나 잡지가 49.6%, 친구가 47.1%, TV나 라디오가 26.8%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여드름의 유무에 따른 지식수준에서 여드름의 발생 원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여드름이 없는 군의 평균점 수가 3.41점, 표준편차 1.02로 여드름이 있는 군의 평균 점수 3.16점, 표준편차 0.89보다 높았으며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셋째, 여드름이 있는 군의 관리 행위에 따른 지식수준은 관리 장소로 피부 관리실을 선택한 그룹이 평균 점수 13.21점, 표준편차 2.07로 그렇지 않은 그룹의 평균 점수 12.09점, 표준편차 1.8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혼자 손으

로 짜는 행위를 한다고 한 그룹이 평균 점수 12.26점, 표준편차 1.91, 그렇지 않은 그룹이 평균 점수 10.83점, 표준편차 1.25로 혼자 손으로 짜는 행위를 하는 그룹이 평균 점수높게 나타났다.

넷째, 여드름이 있는 군의 관리 태도에 따른 관리 행위에서는 관리를 하겠다 라는 태도를 보인 그룹에서 혼자 알아서 하겠다 라고 응답한 경우가 55.9%로 높은 응답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여드름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지식 및 태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여드름이 있는 군에서의 지식 및 태도가 관리 행위에 미친 영향도 크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여드름이 있는 경우 여드름의 발생 원인이나 악화 요인, 치료방

법 등을 정확히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여드름을 관리하는 전문가들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드름에 대한 지식을 높이고 적극적인 관리 태도와 관리 행위를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perception on acne for the Junior college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uitable treatment of acne to the students and the specialists.

For this study,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80 students from 13 departments at a suburban women's junior college from May 1 to May 3, 1996. Of the students, 399 were responded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general question of objects, the ques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of acne, and its treat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Age distribution for the group less than 20 years was 63.7% and over 20 years was 36.3%, the group with acne was 66.2% and the group without acne was 33.8%. Proportions of acquiring the knowledge on acne was 49.6% from newspaper or magazine, 47.1% from friends, and 26.8% from TV or radio.

2.With regard to the knowledge on the presence of acne, a proportion of correctly answered for the question on the cause of acne was 3.41±1.02 for the group withacne compared with 3.16±0.89 for those without acne.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3.With regard to the knowledge levels on the treatment of acne, a proportion answered 'skin-care center'for the question on where to select for the profer treatment was 13.21±1.88 compared with 12.09±1.88 for the other group.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 proportion of answered 'squeezing out acne by themselves' for the question of how to treat was 12.26±1.91 compared with 10.83±1.25 for the other group.

4.In the treatment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the group with acne, the positive group replied 'YES' in the intention of treatment by themselves was 55.9%.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n the presence of acne are not significant and it was found that the knowledge and attitude for the group with acn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reatment behavior.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ause of acne, provoking factors,

remedy etc.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 provide an accurate information to professionals to enhance the knowledge of acne and to treat it properly.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