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551

Cited 0 times in

소음성난청 유소견자들의 사후관리 실태

Other Titles
 (A) post-examination health care status of workers with occupational hearing loss in manufacturing factories 
Authors
 최장선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994년 직업병 유소견자중에서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는 전체의 56.9%를 차지하여 가장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효과적이고도 지속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직업병 문제로 지속될 것이다.

유해 부서 종사 근로자들의 건강 관리를 위하여 특수 건강 진단 제도가 도입되어 그동한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 및 건강 보호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그러나 건강진단은 직업병을 비롯한 질병을 발견하는 것만이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이들에 대한 효과적인 사후 관리가 이루어져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사이에 특수 건강 진단 결과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로 판정 받은 102개 사업장의 154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후 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로 판정 받은 154명의 근로자중에서 작업 전환된 경우가 87명(56.5%) 이었고 어떤 변화도 없이 이전 부서에서 그대로 근무하고 있는 경우가 67명(43.5%) 이었다.

2. 조사된 102개 사업장중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들이 근무하던 부서의 작업환경이 개선된 사업장은 22.9% 이었고, 작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사업장은 77.1% 이었다.

3.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의 사후 관리 조치에서 보건 관리자가 선입되어 있을수록, 산업 안전 보건 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을수록 작업전환율이 높았고, 보건 관리자가 선임되어 있을수록 작업환경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4.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로 판정 받은 154명중 보상 신청을 하였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3명(1.9%) 이었으며, 보상 신청을 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151명(98.1%) 이었다.

5. 장해 보상 신청을 하지 못한 이유는 보상 제도나 이용 방법을 몰라서가 117명(77.5%), 신청해도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 30명(19.9%), 바빠서 4명(2.6%) 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소음성 난청 유소견자에 대한 사후 관리 조치가 미흡하여 소음성 난청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사후 관리 지침이나 관리 내용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근로자와 사업주에 대하여는 사후 관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cases of occupational hearing loss which comprise 56.9% in the total number of work-related diseases in Korea of 1994, are becoming in position of the most serious hazard.

If we don't make effective and enduring protection for them, we shall meet the most hazardous problem in the futur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system which was introduced for health care of workers on hazardous workplaces has played important role in health care of workers on hazardous workplaces has played important role in health care and the prevention of work-related diseases.

The goal of priodic health examination may be obtained when we not only discover occupational diseases, but also control them effectively.

Accordingly, to study post-examination health status of workers with occupational hearing loss diagnosed from 1991 to 1994 in the periodichealth examination, all 154 workers in 102 manufacturing factories in Banwol and Swha industrial complex were reviewed.

1. Among 154 workers, 87 workers(56.5%) were transferred to different department, 67 workers(43.5%) remained in the same department.

2. Among 102 workplaces, only 23 workplaces(22.9%) had changed their workplacewhile 79 workplaces(77.1%) did not.

3. In this study, Post - examination wealth care of the workers diagnosed asoccupational hearing loss had significant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healthcare manager and Industrial Health and safety committee in workplace.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is also closely related with the presence of health care manager in workplace.

4. Among 154 rspondents,3 workers(1.9%) had received compensation while 151 workers(98.1%) did not.

5. Reason for not requesting the compensation were that, 117 workers(77.5%) were ignorant of the adminstraative procedure for compensqtion, 30 workers(19.9%) were not sure of receiveing compensation, 4 workers(2.6%) were busy.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 must establish the guide of management or contents of post management for hard of occupational hearing loss.

Because the countermeasure is still inadequate for person who became deaf by occupational hearing loss, especially,edcation about post management is much required for employer and employee.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