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84

Cited 0 times in

크실렌, 에틸벤젠 동시 폭로근로자들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Other Titles
 Biological monitoring of workers coexposed to xylene and ethyl benzene 
Authors
 이종성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크실렌과 에틸벤젠의 동시폭로시에 요중 메틸마뇨산 및 요중 만델산 등 대사물질들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조사 대상은 모 조선소의 도장 부서에서 크실렌과 에틸벤젠을 함유한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근로자 44명이었다. 폭로량 평가를 위한 기중 크실렌 및 에틸벤젠과 이들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인 요중 메틸마뇨산과 만델산을 각각 가스크로마토 그래프와 고속액체크로마토 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조사 대상자들의 크실렌과 에틸벤젠에 대한 평균 폭로 농도는 각각 24.6 ppm과 7.3 ppm이었으며 요중 메틸마뇨산의 작업종료후와 다음날 작업 시작 전의 평균 농도는 각각 0.66과 0.13 g/g creatinine이었다. 요중 만델산의 작업종료후와 다음날 작업 시작 전의 평균 농도는 0.11 g/g creatinine과 0.06 g/g creatinine이었다.

요중 메틸마뇨산의 농도는 기중 크실렌의 평균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r=0.698, p<0.001)를 보였고 요중 만델산의 농도는 기중 에틸벤젠의 평균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511, p<0.001)를 보여 각각 크실렌과 에틸벤젠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로서의 유용성을 보였다.

오전, 오후 및 일 평균 폭로량과 비교해 본 결과, 요중 메틸마뇨산의 농도는 일 평균 폭로량보다 오후 작업 시간의 크실렌에 대한 폭로 농도와 상관성이 높아(r=0.700, p<0.001) 수시간 이내의 폭로량에 민감하였다. 반면에 요중 만델산 농도는 기중 에틸벤젠의

일 평균 폭로량과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r=0.511, p<0.001).

기중 크실렌 100 ppm에 해당되는 요중 메틸마뇨산의 농도는 1.99 g/g creatinine이었고 기중 에틸벤젠 농도 100 ppm에 해당되는 요중 만델산의 농도는 0.64 g/g creatinine이었다





[영문]

In this study,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methylhippuric acid and mandelic acid were measured in 44 worker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biological monitoring indices for xylene and ethyl benzene. The levels of xylene and ethyl benzene in air and their metabolites a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reversed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followed as;

Concentrations of xylene and ethyl benzene for time-weighted average were 24.6 and 7.3 ppm. Urinary methylhippuric acid and mandelic acid at end of shift and next morning were 0.66, 0.13 g/g creatinine and 0.11, 0.06 g/g creatinine, respectively.

Good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urinary methylhippuric acid and exposure of xylene(r=0.698 p<0.001) and urinary mandelic acid and exposure of ethyl benzene(r=0.511 p<0.001). In this results, urinary methylhippuric acid and mandelic acid might be possible biological monitoring indices for xylene and ethy benzene.

The 1.99 g/g creatinine of methylhippuric acid corresponded to 100 ppm of xylene and 0.64 g/g creatinine of mandelic acid corresponded to 100 ppm of ethyl benzene.

Urinary methylhippuric acid were correlated with exposure of xylene at 13-17 hours(r=0.700, p<0.001) than to whole of shift, but urinary mandelic acid were correlated with exposure of ethyl benzene at whole shift(r=0.511, p<0.001).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