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72

Cited 0 times in

일부 소비자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요인 : 서울시내 백화점 식품구매자를 대상으로

Other Titles
 women consumer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food safety and the factors related to safety concern 
Authors
 이근배 
Issue Date
1997
Description
역학 및 질병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식품안전성에 대한 여성 소비자의 인식도를 알아보고 식품 안전성 우려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996년 10월 19일부터 1996년 10월 26일까지 서울 소재 백화점 3곳을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여 여성 식품구매자 16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후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작성하게 하였고 수거된 자료중 140부를 본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50명을 대상으로 예비설문을 실시한 후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7가지의 건강위해 일반요소(흡연, 음주, 환경오염, 영양부족과 비만, 운동부족, 식품위해성분, 정신건강)에 대한 심각성인식도, 식품안전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 식품안전성과 관련한 25개의 세부항목에 대한 우려도, 식품안전성을 위한 투자의 우선순위, 그리고 10가지 식품안전성 문제와 관련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위해 일반요소의 심각성 인식에서 환경오염에 대해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흡연이었다. 식품의 위해성분은 정신건강, 음주 , 영양부족과 비만, 운동부족보다 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식품안전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 (1점 : 매우안전, 2점 : 안전, 3점 : 보통, 4점 : 우려, 5점 : 매우우려)는 30.7%의 응답자가 "안전 또는 매우안전"하다고 대답한 반면 64.0%가 "걱정 또는 매우걱정"으로 응답하였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식품안전성에 대한 우려는 자녀수가 3명이상인 경우가 3명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우려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세째, 식품안전성을 위한 투자의 우선순위는 "식품에 대한 단속 및 감독 강화"가 가장 높았으며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제조업체를 지원"이 두번째였다. 그 다음으로 "식품검사기관의 인원 및 장비확충", "식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히 홍보", "안심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의 기준 마련"의 순이었다.

네째, 식품안전성문제와 관련한 소비자의 태도는 5가지 변수( 연령, 자녀수, 직업, 교육수준, 결혼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첨가물도 적당히 사용하면 유용하다"에 대해서 반대하는 정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기혼일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직업별로 보면 주부가 가장 반대하고 있었다. "가능하면 1차 자연식품을 사겠다"는 찬성의견이 85.7%로 자연식품을 매우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기혼일수록 1차 자연식품을 선호하고 있었다.

다섯째, 식품안전성에 대한 일반적인 우려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도는 자녀수가 많을수록 우려의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고 정부와 관련당국에 대한 신뢰성우려가 높을수록 식품안전성에 대한

일반적인 우려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01). 또한 기타 안전성관련문제 ( 항생물질, 잔류농약, 영양의 불균형, 식품허위표시, 과대광고표시)와 부패관련문제( 유통기한이 긴 식품, 대장균검출, 냉동생선의 부패, 인공색소)에 대한 우려도가 증가할수록 식품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 식품구매자들은 건강위해 일반요소중 식품위해성분에 대해 매우 중요시 하였으며 식품안전성에 대해 약 2/3의 응답자가 우려하고 있었다. 또한 식품안전성을 위해서는 식품에 대한 단속 및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에 대한 식품정보의 홍보 및 교육은 다소 낮게 선호하고 있었다. 식품안전성에 대한 우려요인중 정부와 관련당국에 대한 신뢰성우려가 높을 수록 식품안전성에 대해 매우 우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식품안전성과 관련한 태도에서는 많은 응답자가 '보통'이라고 대답해 식품안전성과 관련한 문제에 대한 지식이나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성문제는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정확하고 과학적인 조치를 취함으로서 안전성확보가 가능한 것은 사실이나 소비자의 지식이나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안전성논란은 계속될 것이며 소비자의 불안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정부 및 관련당국, 언론, 식품산업체, 학자들을 통해 자연과학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노력뿐 아니라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소비자에게 정확히 교육하고 홍보하는 노력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조사대상자를 서울시의 일부지역에 국

한시키고 소비자를 백화점의 여성구매자에게만 한정했으므로 연구결과를 전체소비자에게 일반화시키지 못하며 연구도구는 외국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보완한 비표준화 도구이므로 식품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women consumer perceptions of food safety in general, then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oncern levels(dependent variables) and groups of specific items of concern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independent variable).

One hundred sixty people visiting 3 Department Stores in Seoul were surveyed based on willingness to complete a ten-Pages [questionnaire. Of the 160 Questionnaires collected, 140 were complete and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October 19th ∼ October 26th in1996.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a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s of seven items, which are Potentially damaging to health, the respondents were most concerned about environmenal pollution, and they ranked smoking the second. The concern level of ingredients in food was higher than that of mental health, amount of alcohol drunk, nutrition deficiency and obesity and Poor exercise.

Second, the level of current food safety in general were considered a "safe or very safe" by 30.7% of respondents, while 64.0% of respondents were "concerned or much concerned" about food safety. The level of food safety concern in general was likely to increase with age.

Third, the mean scores of the prioritization of funding for food safety areas (1=low priority, 5=high priority) put "Enhancing the control and management to food-related activities" at the top of the 5 areas with "Setting negligible chemical risk standards" at the bottom. Other funding areas came somewhere in the middle.

Fourth, in the survey of the consumer attitudes related to food safety, 5 variables (age, number of the children, occupation, educational levels, marriage) appeared to have an effect on a person's attitudes of food safety. Certain groups were more likely to disagree with the statement "Food additives may be useful if used properly". The level of disagreement with that stat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number of their children, and marriage (p<0.001). Housewives most disagreed with that statement. 85.7% of the respondents agreed with a statement " I would like to buy natural foods rather than processing foods." The level of prioritization of natural foods appeared to increase with age, marage.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s concern with trust for government and authorities concerned, the additional issues related to food safety (antibiotic substance, Pesticide residues, nutritional imbalances, false labeling and exaggerated advertisement) and spoilage issues (shelf-stable food, E coli contamination, spoilage of freezing fish, artificial color) increased, so did the concern level of current food safety in general increase.

If we wish to assure the safety of our food it is clearly important for government and authorities concerned, scientists, food industry and media to make an accurate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but it is more important for them to find ways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at will help to resorve discrepancies between degree of scientifically demonstrated health hazard and degree of public concern. The problerm of food safety must be communicated in a rational manner. Food communicators, the media, scientists in academia, government and food industry must continue efforts to educate consumers about the food safety issue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