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1305

Cited 0 times in

라인케부종환자의 음성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균-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1:19Z-
dc.date.available2015-11-20T06:01:1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5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라인케부종은 막양성대의 다양한 정도의 만성 부종 상태를 말한다. 비교적 흔한 성대의 양성질환임에도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음성학적 분석은 보고된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인케부종의 음성학적 특성을 기술함으로서 질환의 특징을 객관화하고, 나아가 음성분 석이 이 질환의 진단이나 치료효과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라인케부종의 음성 분석과 공기역동학적분석, 후두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후두경검사로 병을 진단하고 심한 정도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음성 분석으로 C-Speech에서 정상과 라인케부종 환자의 지터(jitter), 쉼머(shimmer), 신호대잡음비(SN R: Signal to noise ratio)를 비교하였고 Doctor speech science에서는 회화기본주파수, 표준잡음력(NNE: Normalized noise energy)의 절댓값, 음질(Voice quality)을 비교하였다. 또한 음성 기능분석기(Phonatory function analyser)로 공기 역동학적인 변수들, 즉 음압, 호기류율, 호기압등을 측정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라인케부종 환자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정상인보다 의미 있게 낮은 음도를 나타내며 C-Speech에서 측정한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와 Doctor speech science에서의 표준잡음력(NNE: Normalized noise energy)의 절댓값이 의미 있게 낮게 나타났다. 2. 라인케부종 환자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C-Speech에서 측정한 지터(jitter), 쉼머(shimmer)값과, 음성 기능분석기(Phonatory function analyser)로 분석한 호기류율, 호기압이 정상인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 3, 라인케부종 환자의 경우 Doctor speech science에서의 음질 검사 상 음질이 정상인보다 의미 있게 나쁘다고 할 수 있다. 4. 라인케부종 환자의 경우 그 부종의 정도가 심할수륵 지터(jitter), 쉼머(shimmer)값이 크고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값은 작은 경향이 있다. 이에 연구자는 라인케부종 환자의 경우 정상인 보다 전반적으로 음도가 뚜렷이 낮게 나타나며, 한편 컴퓨터 음성분석과 발성기능분석상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 표준잡음력(NNE: Normalized noise energy), 지터(jitter), 쉼머(shimmer), 호기류율, 호기압등의 변수는 정상인과 비교해 확연한 차이를 보여주었고 질병의 심한 정도를 잘 반영해 줌으로써 라인케부종의 진단은 물론 치료효과 판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Reinke's edema is used for describing varying degrees of chronic swelling of the vocal folds. The acoustic analysis of Reinke's edema has not been reported so far in this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coustic and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Reinke's edema. Several acoustic evaluations & aerodynamic studies were done in 20 Reinke's edema patients and the data was compared with those of 20 normal controls. Videolaryngoscopy also was done to classify the severity grading. We used C-Speech, Doctor speech science, and Phonatory function analyser. In C-Speech, we compared jitter, shimmer, and SNR(signal to noise ratio) of normal and Reinke's edema patient. In Doctor speech science, we compared NNE(Glottal noise energy),speech fundamental frequency, voice quality between two groups. And in phonatory function analyser far aerodynamic function test, we compared speech intensity, airflow rate, and expiratory pressur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oth male and female, the voice of Reinke's edema was low in pitch in stroboscopic findings and SNR(signal to noise ratio) in C-speech, NNE(Glotal noise energy) in Doctor speech science was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normal. 2. Both in males and females, Jitter & Shimmer in C-Speech, airflow rate & expiratory pressure in Phonatory function analys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inke's edema. 3. Voice quality of Reinke's edema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normal in Doctor speech science. 4. Analysis among the Grade of Reinke's edema, the higher grade showed higher jitter & shimmer level and lower SNR level. In conclusion, Reinke's edema patients showed lower voice pitches than normal, additionally jitter, shimmer, SNR(signal to noise ratio), NNE(Glottal noise energy),airflow rate, and expiratory pressure may be meaningful parameters f7r diagnosis and prognosis for treatme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라인케부종환자의 음성분석-
dc.title.alternativeAcoustic analysis of Reinke' edema-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973-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ang Ky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