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108

Cited 0 times in

학령기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정아-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0:52Z-
dc.date.available2015-11-20T06:00:5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39-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군인가정과 일 반가정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군부대가 위치해 있는 충 청도 일 농촌 읍지역 3개 공립국민학교 4, 5, 6학년 학생과 학부모들이다. 자료수집은 자 가보고식 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부모용과 아동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부모용 질문지는 연구자가 개발한 가족 구조환경에 관한 10문항과 가족문화환경에 관한 9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가족 문화환경에 관한 것은 Moos와 Moos(19 94)가 개발한 가족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 FES)를 바탕으로 하였다. 아동용 질문지는 이상필(1990)이 개발한 학교생활 적응도구를 사용하여 교우관계, 학습활동, 규 칙준수관계, 학교행사 관계와 담임교사와의 관계변수로 2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 집 기간은 1995년 10월 10일부터 10월 23일까지였다. 대상자는 총 278명으로 군인가정 아 동 104명과 일반가정 174명의 아동과 그들 부모들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DOW를 이용 하였다. 가정환경의 일반적 사항은 군인가정과 일반가정으로 나누어 서술적 통계(평균, 표준편차, 비율)와 X**2 -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학교생활 적응영역별로 평균, 표 준편차와 t-test를 이용하였고,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 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환경의 변수들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을 얼마나 설명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 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 구조환경에서는 군인가정 환경과 일반가정 환경에서 전학 경험, 전학 횟수, 전 학 이유,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어머니 직업 유·무와 자녀교육시 어려운 점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족 문화환경에서는 응집력에서 일반가정이 유의하게 높았고, 지적 -문화적 지향성, 활동-오락 지향성, 도덕-종교적 강조에서는 군인가정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 학교생활 적응의 평균은 73.987점으로 군인가정의 아동은 평균 74.442, 표준 편차 9.767이며, 일반가정의 아동은 평균 73.531, 표준 편차 9.947로 군인가정의 아동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3)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분석에서는 가족 구조환경의 성별, 전학 경험, 전학 횟수,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가족 문화환경의 응집력, 성취지향성, 지적-문화 적 지향성과, 조직력이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학교생활 적응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아버지의 학력, 아동의 성별, 가족문화환경의 조직력과, 전학 횟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전학 경험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영역을 비교 한 결과 교우관계에서는 전학 경험이 있는 아동은 평균 13.961, 표준 편차 2.329와 전학 경험이 없는 아동은 평균 14.678, 표준편차 2.437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t=-2.21, p < .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학 경험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한 건강 혹은 간호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에 아버지 학력, 아동 의 성별, 가족 문화환경의 조직력과 전학 횟수와 전학한 지역의 현주거지, 이전 주거지에 대한 사회·문화직 환경 등 지역사회 특성이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위험요 인과 지역사회 환경을 고려하여 학교생활 부적응을 예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 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학령기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s and school adjustments of school-age children : comparative study on military family with civilian family-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Gu, Jeong Ah-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