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802

Cited 0 times in

소아 급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후 호중구 감소시 세포 충실도에 따른 rhG-CSF 및 rhGM-CSF의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소정-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0:40Z-
dc.date.available2015-11-20T06:00:4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31-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백혈병을 비롯한 악성종양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후의 호중구감소증의 발생은 보다 강력한 화학요법을 하는데 있어 제한 요소로 작용한다. 집락자극인자중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G-CSF) 및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GM-CSF)는 과립구계 전구세포의 증식, 분화 및 성숙을 촉진시키고, 성숙된 과립구를 골수의 저장으로부터 말초혈로 이동하도록 하는 조혈성장인자이다. 항암화학요법후 집락자극인자를 투여하면 호중구감소증에서 회복되는 기간이 단축되어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소아 급성 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후의 호중구감소증 환아에게 rhG-CSF 및rhGM-CSF를 투여하여 효과 유무를 알아보고 그 효과가 골수 세포충실도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1993년 9월부터 1995년 3월까지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15세 미만의 급성 백혈병 환 아 중 항암화학요법후의 호중구감소증이 있었던 환아 5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환아는 총 54명으로 rhG-CSF 또는 rhGM-CSF투여군이 29명, 대조군이 25명이었다. 연령은 0세부터 14세였고 중앙치는 8세 였다. 성별은 남아가 38명, 여아가 16명이었다. 투여군과 비투여군 사이에 연령, 성별 및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비림프구성 백혈병이 차지하는 비율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절대호중구수의 회복에 있어서 rhG-CSF 또는 rhGM-CSF투여군에서는 항암화학요법 종료후 13.8±5.0일에 절대호중구수가 500/mm**3이상으로 회복되는데 반하여 대조군에서는 16.6±5.8일이 소요되었으며 절대호중구수가 1000/mm**3 이상으로 회복되는데는 각각 14.8±5,0일, 18.4±6.5일이 소요되었고 절대호중구수가 1500/mm**3 이상으로 회복되는데는 각각 15.0±5.1일, 19.8±6.9일이 소요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환자 및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환자를 각각 집락자극인자 투여군과 비투여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도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환자에서 절대호중구수가 500/mm**3 이상으로 회복되는데 소요된 기간을 제외하고는 모두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3. 집락자극인자 투여시작시기는 항암화학요법 종료후 7.3±5.3일이었고 급성림프구성 백혈병과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에 따른 차이나 rhG-CSF 와rhGM-CSF투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집락자극인자 사용기간은 9.0±6.3일이었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는 6.4±5.7일,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에서는 11.5±5.9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rhG-CSF와rhGM-CSF 투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총 입원일은 rhG-CSF 또는 rhGM-CSF투여군에서는 42.6±15.8일이었고 대조군에서는 53 1±16.9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과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으로 나누어 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비교한 결과 각각 42.0±16.8일과 48.1±8.5일, 43.1±15.4일과 59.5±22.6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rhG-CSF 와 rhGM-CSF투여에 따른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다. 5. 집락자극인자 투여전과 투여후에 각각 골수검사를 시행하여 골수세포충실도를 관찰한 결과 투여전에는 평균 l8.5±15.1%에서 투여후에는 38.8±28.4%로 증가하였고(p<0.01) rhG-CSF군에서는 증가하였으나 의미는 없었고 rhGM-CSF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다. 대조군의 경우는 제 14일과 제 28일에 시행한 골수검사상 세포충실도가 각각 21.4±12.5%,26.4±13.8%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6. rhGM-CSF 또는 rhGM-CSF투여의 부작용으로는 집락자극인자를 투여받은 환아 29명중 발열 3례, 오심, 흉부불편감, 사지의 이상감각이 각각 1례씩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rhG-CSF 및 rhGM-CSF를 사용은 골수억제 및 호중구감소증의 회복을 도와 급성 백혈병의 치료에 보다 강한 항암화학요법을 가능하게하여 관해율을 높이고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hG-CSF 및 rhGM-CSF 투여군에서 골수세포충실도가 집락자극인자 투여후에 대조군의 골수세포충실도에 비하여 증가한 것으로 보아 골수세포충실도와 rhG-CSF 및rhGM-CSF 투여효과 사이에는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백혈병 자체의 재발여부 및 각각의 골수구성세포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An increased dosage of chemotherapy and a trial of bone marrow transplantation in acute leukemia result in severe marrow suppression. As the risk of infection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is related to the depth o fthe fall in neutrophil counts,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rhG-CSF) and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rhGM-CSF) have been used clinically to accelerate the recovery of normal myelopoiesis after intensive chemotherapy or bone marrow transp1antation. We conducted n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nfety of rhG-CSF and rhGM-CSF after intensive chemotherapy in 54 children with acute leukemia(29 cases of CSF treated group, 25 cases of control group) Patients assigned to the rhG-CSF or rhGM-CSF group received 5㎍/kg, daily, starting several day after the last day of induction chemotherauy and until the peripheral absolute neutrophil count surpassed 1000/mm**3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ime needed to reach neutrolphil recoverv of>500/mm**3, > 1000/mm**3, and of >1500mm**3 was significantly shorten in rhG-CSF or rhGM-CSF group than control group. 2. The median administration duration of rhG-CSF or rhGM-CSF was 9.0±6.3 days. 3. The hospitalization duration was shorter in rhG-CSF or rhGM-CSF group than control. 4. Bone marrow cellularity was increased from 18.5±15.1% to 38.8±28.4% after rhG-CSF or rhGM-CSF administration, but no diferenc wos observed in control group. 5. Side effect of rhg-CSF or rhGM-CSF were observed fever(10.3%),nausea(3.4%), chest discomfort(3.4%), paresthesia(3.4%), but these reactions were transient and recovered without specific treatment. In conclusuio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rhG-CSF or rhGM-CSF induces accelerated recovery after intensive chemotherapy in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The increase in bone marrow cellularity after rhG-CSF or rhGM-CSF administration seems to have correlation with effect of rhG-CSF or rhGM-CSF. Further long term observation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n leukemia relapse or rhG-CSF or rhGM-CSF.-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소아 급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후 호중구 감소시 세포 충실도에 따른 rhG-CSF 및 rhGM-CSF의 효과-
dc.title.alternativeEffect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rhG-CSF) and recombinant human granu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84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So Ch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