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1327

Cited 0 times in

폐선암(Adenocarcinoma of the lung)의 폐 전산화단층촬영(CT) 소견

Other Titles
 CT findings of adenocarcinoma of the lung 
Authors
 전태주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폐선암은 세기관지 혹은 폐포 상피에서 기원하는 암으로 점점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여성 및 비흡연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종양이다. 폐선암은 폐야 주변부의 단일 결정이나 종괴로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한 방사선학적 소견이나 그 밖에도 중심부에 생겨서 폐 허탈을 일으키거나 폐경결, 공동성 병변 및 선상 병변으로도 나타나는 등 그 소견이 매우 다양하므로 진단에 애로가 있을 경우가 종종 있고 타질환과의 감별 또한 어려울 경우가 많다. 이제까지 보고된 연구를 살펴보면 과거에 단순 흉부촬영소견을 분석하여 주변부 단일 병변이 가장 일반적인 소견임을 제시한 바 있고 최근에 전산화단층찰영소견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이들 연구는 대개 모든 세포형의 폐암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며 폐선암만의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폐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분석한 예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138예라는 비교적 큰 모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폐선암의 전산화단층촬영소견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소견를 모아서 일반적인 소견뿐만 아니라 드물게 나타날 수 있는 소견을 함께 분석하고 아울러 주병변과 폐선암의 전이양상에 관하여서도 분석하여 봄으로써 본 질환의 진단 및 감별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선암은 총 138예 중 주변형 113예, 중심형 25예로 나타났으며 주변형 중에서 는 결절이 100예, 폐경결이 8예, 공동이 4예, 선상병변이 1예였으며, 중심형병변에서는 폐허탈을 일으킨 경우가 16예, 폐허탈 없이 기관지 벽의 비후만 나타낸 경우가 9예였다.

2. 남녀비는 82 : 56 (1.5 : 1)으로 나타났다.

3. 주변부 단일 병변은 주변이 분엽상, 침상, 그리고 평활하게 경계지워지는 소견을 보였으며 결절의 경우, 내부의 밀도가 균일한 것과 부분적으로 저밀도 음영을 나타내는 불균일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각각 48예 및 44예를 나타냈으며 드물게 결절내에 공기 기관지조영을 보이는 경우가 3예, 공기방울같은 부분이 있는 것이 2예, 석회화가 존재하는 것이 3예 있었다.

4. 흉곽내 전이는 30예에서 나타났으며 임파절 침범은 104예에서 나타났다.

5. 흉곽외 전이로는 골전이가 14예, 뇌전이가 5예, 간전이가 2예 그리고 부신으로의 전이가 1예로 총 22예였다.

6. 병변의 분포는 우상엽이 26예, 우중엽이 13예, 우하엽이 30예 총 69예 였으며 좌상엽이 23예, 좌하엽이 25예로 총 48예로 우엽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그밖에 2엽이상을 침범한경우가 11예, 양엽을 침범한 경우가 10예였다.

[영문]

Adcnocarcinoma of the lung is the cancer arised from periphcral bronchiolar epithelium and takes the incrcasing proprtion of lung cancer and shows high incidence in female and non-smocker. In most cases, the initial radiologic finding of this cancer was periphcral single mass but other variable radiologic findings

can prevent accurate diagnosis of this disease. On this study, CT findings of adenocarcinoma were classified to peripheral and central type. Peripheral single nodular lesion was the most common radiologic pattern of adenocarcinoma however consolidation, cavity and tubular lesions were another unusual findings of peripheral typc of adenocarcinoma. Central type lesion of adenocarcinoma may show atelectasis or not.

Metastasis of adenocarcinoma was classified into intrathoracic and extrathotacic type. Intrathoracic metastasis could be presented as lung to lung, lymphangitic, and pleural metastasis, Bone , brain, liver and adcrcnal gland were invo1ved in extrathorrasis metastasis. Early distant metastasis was noted in T1 and T2 stage of primary adenocarcinoma in many case.

Bccausc of variable radiologic findings, adenocarcinoma of the lung was difficult to diagnosis in many cases so we investigated the CT findings of adenocarcinoma in large population(138 cases).

The results arc as follows :

1. Peripheral single Iesion was the most common finding of adenocarcinoma of the lung(100 cases) however consolidation(8 cases), cavity(4 cases) and tubular Iesion (1 case) also could be presented as unusual findings of adenocarcinoma,

2. In central type of adenocarcinoma, atelectasis was noted in 16 cases and only a bronchial wall thiekening was thickening in 9 cases.,

3.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82 : 56 (1.5 : 1)

4. Among the peripheral type lesions, homogeneous and inhomogeneous internal densities were noted in 48 and 44 cases respectively and remaind cases showed air-bronchogram(3 cases), pseudocavitation(2 cases) and calcification(3 cases).

5. Lung to lung(9 cases), lymphangitic(5 cases), and pleural metastasis(16 cases) were presented as intrathoracic metastasis.

6. Bonc(14 cases), brain(5 cases), liver(2 cases) and adrenal metastasis(1 case) were presented as intrathoracic metastasis.

7. Among the extrathoracic metastasis, 10 cases were involved at T1 stage, 7 cases were at T2, 3 cases were at T3 and 2 cases were at T4 stage.

In conclusion, most common radiologic finding of adenocarcinoma is peripheral single mass or nodule but consolidation, cavity, tubular lesion, atelectasis and only a bronchial wall thickening also can be presented as unusual findings of adenocareinoma. As a consequcnce, it is difficult to diagnos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in many case. Distant metastasis was also noted in many case of carly T stage lesion, so careful cvaluation for the metastasis is essential to manage the patient.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7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uclear Medicine (핵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Jeon, Tae Joo(전태주)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7574-673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22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