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59

Cited 0 times in

인공수정체 지지부가 가토의 수정체후낭 혼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haptic portion of intraoccular lens on the developm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ty in rabbit 
Authors
 윤영두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백내장 낭외적출술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시력 감퇴 원인 중의 하나인 수정체후낭 혼탁은 수술 후 제거되지 않고 잔존한 수정체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과 분화, 이동 및 그에 따른 수정체피질의 재생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수정체후낭 혼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내장 수술시 삽입하는 인공수정체의 형태 및 재질 등을 여러가지로 바꾸어 수정체후낭 혼탁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이 연구되어져 왔으며 지금까지 시행된 연구는 모두가 인공수정체를 구성하는 두 가지 부분인 광학부와 지지부 중 광학부에 국한되어 시행되어 왔다. 지지부도 수정체후낭에 들어가는 구조물로서 특히 수정체후낭 혼탁의 원인이 되는 수정체상피세포가 있는 수정체낭적도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수정체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증식, 이동 및 그에 따른 수정체피질의 재생에 장벽으로 작용하여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낭내초음파유화흡입술을 이용한 백내장 낭외적출술 후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할 때 지지부의 위치 및 접촉하는 부위에 따른 후낭 혼탁의 차이와 intracapsular ring의 사용에 따른 후낭 혼탁의 차이 및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백색 가토에서 백내장 낭외적출술을 시행한 후 수정체낭내에 아무것도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 인공수정체를 수평 삽입한 것을 실험 1 군, 인공수정체를 수직 삽입한 것을 실험 2 군, intracapsular ring을 삽입한 것을 실험 3 군, 인공수정체와 intracapsular ring을 같이 삽입한 것을 실험 4 군으로 하여 수술 후 3개월까지 추적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정체낭내에 인공수정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보다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이 의의 있게 적었다.

2. 수정체낭내에 지지부로만 구성된 intracapsular ring이 존재하는 경우에 아무 것도 없는 경우보다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이 의의 있게 적었다.

3. 수정체낭내에 intracapsular ring과 인공수정체가 같이 있었던 경우에 인공수정체만 있었던 경우보다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이 의의 있게 적었다.

4. 인공수정체를 수평하게 삽입했던 경우와 수직으로 삽입했던 경우 두 군간의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인공수정체의 지지부가 닿지 않는 부분의 수정체후낭에 주로 수정체피질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인공수정체의 지지부도 수정체후낭 혼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과 지지부로만 구성된 intracapsular ring도 수정체후낭 혼탁 억제와 수정체후낭 안정성증대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인공수정체의 낭내 삽입의 용이성을 고려해서 인공수정체의 지지부가 수정체낭의 적도부위와 될 수 있는 한 많이 접촉하는 이상적인 형태의 인공수정체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most common cause of visual loss afte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is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which is derived from remaining lens epi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synthesis of new lens cortex.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secondary posterior capsular opacity and one of the methods is to modulate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intraocular lens(I0L) that has usually been used in cataract surgery. Intraocular lens consists of two parts: one is optic which is the optical portion of I0L and the other is haptic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stability and positioning of I0L. The optic portion of I0L concerned with posterior capsular opaiification has been well studied and the results are established. However until recently, the haptic portion of I0L has not been studied. As the haptic portion of I0L is located within the equator of the

posterior capsule and contacts with the lens epithelial cell, we can expect the haptic portion of I0L may have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by acting as mechanical barrier against Proliferation of the lens epithelial cell and synthesis of new lens cortex. In this study, using an white rabbit model, the effect of the haptic and intracapsular ring on the developm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fication afte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with phacoemulsification was studied.

Only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was done in control group. After extracapsular cataract extraction, in group 1,I0L was inserted horizontally; in group 2,I0L was inserted vertically; and in group 3, an intracapsular ring was inserted; in group 4, an intracapsular ring with I0L were insert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were as follow in three months after operation.

1. Posterior capsular opacity occurred less in group with I0L than the group without I0L.

2. Posterior capsular opacity occurred less in group with an intracapsular ring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intracapsular ring.

3. Posterior capsular opacity occurred less in group with both intracapsular ring and I0L than the group with I0L alone.

4. No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posterior capsular opacity was found between two groups, with horizontal IOL and with vertical I0L.

5. Lens cortex proliferation was prominent in the posterior capsule where the haptic of I0L didn't contact.

Through this experimental works in rabbit model, It could be conceived that the haptic portion of I0L and the intracapsular ring can prevent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posterior capsular opacity and also an intracapsular ring can increase the stability of I0L. Fo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is result, more studies

focusing on the haptic portion of I0L may be need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6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9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