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866

Cited 0 times in

다발성 치아우식증 소아에서 타액 단백질의 특성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the salivary proteins in the children with rampant dental caries 
Authors
 양호정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아 우식은 미생물, 기질, 타액등이 관여하는 다인자성 질환이다. 그 중 숙주인자에 해당하는 타액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며, 오래 전부터 타액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우식의 발생 및 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우식 활성이 높은 개인의 타액과 우식이 없는 개인의 타액을 다각적으로 비교하여 이들 사이의 차이를 설명해 나감으로써, 우식의 발생 및 진행에 관여하는 타액의 역할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도 타액이 어떻게 우식 저항성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하여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5 세의 전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소아로서, 다발성치아 우식 중이 있는 소아 15 명, 우식이 없는 정상 소아 15 명에서 전타액과 이하선 타액을 채집하여,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를 시행한 다음, 단백질 조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하선 타액을 전기영동한 결과, 다발성 치아 우식증 소아와 정상소아간에 단백질 조성의 차이가 없었다.

2. 다발성 치아 우식증이 있는 소아의 전타액에서 분자량 약 120 KDa 정도되는 단백질이 나타난 반면에, 우식이 없는 정상 소아에서는 이 단백질이 관찰되지 않았고, 있어도 흐리거나 불분명하였다 (단, 15명중 1 명에서만 예외적으로 뚜렷한 단백질 Band를 나타내었다.)

3. 다발성 치아우식증을 가진 소아의 치료 전 ·후 전타액내 단백질 조성을 비교하였는데, 두 경우 모두에서 약 120 KDa 정도의 선명한 단백질 band를 보였다.

4. 우식이 없는 정상 소아 전타액의 단백질 조성은 건강한 성인과 동일하였다.

5. 다발성 치아우식증 소아의 단백질은 정상 소아의 그것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발성 치아 우식증 소아의 타액에서 관찰된 분자량 120 KDa 가량의 단백질이 치료 후에도 여전히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적어도 이 단백질은 타액 채집시 우식병소의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다발성 치

아우식증 소아에서 관찰된 특정한 타액 단백질, 즉 분자량 120 KDa 정도되는 단백질은 우식 발생 및 진행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며, 앞으로 이 단백질의 동정 및 역할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영문]

As a part of host factors of dental caries, saliva has been well known for its important role in relation to dental caries. And studies on its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n development and progress of dental caries has been conducted. Recently, various comparisons between saliva of caries-susceptable individuals and caries-free individuals has been done and the efforts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salivary intervention of development and progress of dental caries is actively in progress. In this study, 15 children with rampant dental caries and 15 caries free children without any systemic diseases from the ages of 2 to 5 were chosen f7r the experiment and the whole saliva and parotid saliva from each individuals were collected and protein compositions were compared us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AGE).

As results of this study, in parotid saliva,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tein compositions between the rampant dental caries and the caries free children. While electrophoresis was done with the whole saliva, protein with 120 KDa was fecund in

children with rampant dental caries. However, this protein was not found or unclear, if any far the caries free group. (Exceptionally, clear protein band was present for one person.) Protein compositions of whole saliva of rampant dental caries group was compared before rind after the caries control and thick and clear protein bands of about 120 KDa were found in both cases. Protein compositions of caries free children and adults were identical.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 was done for the rampant dental carie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aken all together, protein with molecular weight of 120 KDa, found in rampant dental caries group, was still present when the treatment for the dental caries was done so it can be assumed that this protein has no inte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active carious lesions during saliva collecting. It can also be resumed that this specific salivary protein with the molecular weight of 120KDa fecund in rampant dental caries group has effect on development and progress of dental caries. Identification on this protein with the molecular-weight of 120 KDa and the role of this protein against dental caries remain to be solv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5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