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640

Cited 0 times in

직장암과 인접 조직에서 대장암 연관 유전자들의 구조적 이상

Other Titles
 Structural abnormalities of colon cancer associated genes in rectal cancer and adjacent tissues 
Authors
 서광욱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직장암 수술에서 종양의 육안적 경계로 부터 원위부 절제연까지의 길이(절제길이)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비교적 분화가 좋은 암이거나 경계가 명확한 유두상 암인 경우 현재 2cm 이상을 안전한 절제길이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절제길이가 충분하고, 조직학적으로 절제연에 악성 세포의 침윤이 없었음이 확인된 경우에도 근치적 절제 후 약 30% 내외에서 국소재발이 병발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이 문합부 근처의 재발이다. 이는 세포 단위에서는 현미경적으로 암세포가 관찰되지 않더라도 세포이하 단위에서는 암발생과 연관이 있는 유전자들의 변화가 있는 세포들이 남아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임상적인 암으로 발전하여 국소재발의 원인이 될 수 있지 않느냐는 가정을 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절제길이내 조직에서의 분자 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근치적 전방절제술이 시행되고 절제길이를 4cm 이상 확보할 수 있었던 중하위부 직장암 환자 10예를 대상으로 절제길이내 조직에서 망막 모세포종 민감 유전자(retinoblastoma susceptibility gene, rb), 대장암내 변이 유전자(mutated in colon cancer gene, mcc) 및 선종성 대장 용종증 유전자(adenomatous polyposis coli gene, ape)에 대해서 절단길이 다형성 분석으로 이형성 접합 소실 여부를, p53 유전자 및 K-γas 유전자에 대해서는 단일쇄 형태 변환 다형성 분석으로 점 돌연변이 여부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Rb 인트론 1은 총 10예중 8예에서 정상적인 띠와 다른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8예중 3예에서 이형성 접합 소실이 관찰되었다. 원위부 절제연까지의 조직에서는 이형성 접합 소실을 관찰 할 수 없었다. 인트론 17은 10예중 5예(50%)에서 정상적인 띠와 다른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이형성 접합 소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2. Mcc 엑손 17은 10예중 5예(50%)에서 정상적인 띠와 다른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형성 접합 소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Apc 엑손 11은 총 10예중 5예(50%)에서 정상적인 띠와 다른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5예중 1예에서 이형성 접합 소실이 관찰되었으나, 원위부 절제연까지의 조직에서는 이형성 접합 소실을 관찰할 수 없었다.

3. p53 유전자 엑손 5, 6, 7, 8 및 9에서 이동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4. K-γas 유전자 엑손 1에서는 10에 중 1예에서만 이동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엑손 2에서는 10예 모두에서 이동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동 차이가 관찰된 1예에 대해 원위부 절제연까지의 조직을 대상으로 다시 단일쇄 형태 변환 다형성 분석을 시행하였으나 이동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종양의 육안적 경계에서 1, 2, 3cm 떨어진 곳의 직장 조직에서는, 비록 제한된 수의 증례들이고 대장암 관련 유전자의 일부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분자 생물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영문]

The distance from tumor to the distal resection margin(resection length)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local recurrence in rectal cancer surgery. The longer the distance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suture line recurrence, however, the probability of permanent colostomy rises. The '2cm'

distance is now being accepted as the safe length for the selected cases. Local recurrence, however, may accur around the anastomosis in the cases whose resection margin was not involved with tumor cells. It implies that a subcellular change may exist in the normal-looking rectum adjacent to the tumor. Thus, in the present study, structural abnormalities of several genes incorporated in the colorectal tumorigenicity were examined. Ten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low anterior resections were enrolled.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rectal cancer specimen, six specimens were obtained: tumor tissue, tissue along proximal resection margin for the normal control, tissue on the distal resection line, rectal tissue from 1, 2, rind 3cm apart from the tumor(tissues within resection length). For loss of heterogygosity(LOH) of retinoblastoma-susceptibility gene(rb), adencmatous polyposis coli gene(apc) and mutated in colon cancer gene(mcc),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was analysed after polymerase chain reaction. Fer point mutations of K-γas oncogene and p53 suppressor oncogene,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was performed. LOH or point mutation was compared with tumor and normal control and if there was positive finding, tissues within resection length were analysed.

LOH was observed in 3 of 8 informative cases for rb intron 1, but LOH was not found in adjacent tissues. LOH was not observed for rb intron 17. LOH was found in one of five informative cases for ape exon 11, LOH was not found in adjacent tissues. For mcc exon 17 LOH was not found. Mobility shift was not found for p53

exon 5, 6, 7, 8 and 9. One case showed mobility shift for K-ras exon 1, however, mobility shift was not observed in adjacent tissues. K-ras exon 2 showed no mobility shift.

In conclusion, there is no structural abnormality of colon cancer associated genes in the normal looking resection length. Patients, however, should be followed and their clinical outcomes must be compared with these results. I think that further investigation for more patients is necessary and other genetic alterations than what I have studied on should be analysed.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7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