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419

Cited 0 times in

교사들의 인식도 및 관리 태도를 통한 장애아동의 구강보건관리 실태 조사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경-
dc.date.accessioned2015-11-20T05:55:07Z-
dc.date.available2015-11-20T05:55:0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18-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장애아동들의 구강 건강상태에 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도 및 관리 태도를 조사함으로써 한국의 장애자 구강보건 관리실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장애자들의 전반적인 건강과 복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저자는 전국 102개 특수학교 및 재활원 현직 교사 1,0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후 848부를 회수하여 이를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장애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치아우식증이 더 많고, 그 이유는 심신의 기본장애에 따른 관리소홀에 기인한 것으로 보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76%) 2. 장애아동의 구강증상 호소를 경험한 사례가 많고, 이때 처치는 양호실로 보내어 간단히 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로서 나타났으며, 구강 증상 호소시에도 별다른 처치를 못한 이유로 경제적 이유가 46%, 자신의 업무범위를 초과한다고 응답한 경우도 24%나 되었다. 3. 구강보건지도는 대다수 (93.1%)의 교사가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이를 닦으며 지도하는 경우는 24.7%에 불과하였다. 구강보건지도 프로그램을 갖고있는 학교는 48.5%였고, 서울지역이 타지역보다 많았다. 4. 치과순회 진료는 내방의 경우가 62.5%로, 무료정기적 단체팀이 가장 많았으며(40.6%),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 대다수(84.9%)의 교사가 이 진료가 구강보건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5. 구강보건 향상을 위한 우선지원으로 순회진료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38.5%) 그러나 앞으로의 치과진료방향은 순회진료보다 지정치과의원의 체계적 진료를 원하는 교사가 특히 젊은 교사들에게서 더 많았다. 6. 장애자전문 치과병원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었으나(94.6%), 장애자전문 의료기관에 필요한 진료과목의 우선 순위는 재활의학과, 내과, 소아과, 정신과 순이었고 치과는 7위를 차지하였다. 7. 특수교사의 구강보건 지식 및 관리행동은 본 조사에서 10점 만점에 7점으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8. 응답자의 성별, 학력, 근무년수, 전공분야가 장애자 구강보건에 관한 인식도 및 관리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많지 않았다. [영문] This survey was purposed to provide information of oral hygienic care of handicapped children &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 total well-being. The author surveyed 1,000-teachers of the schools for the handicapped & rehabilitation centers in Korea, and 848-answers were obtain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1. The most opinion (76%) about the state of oral health of the handicapped was that they had more caries-incidency than normal and its reason was due to neglect care. 2. There are many teachers (62.5%) who experienced the appeals of the handicapped for their oral symptoms, and they commonly refer to nursing room. 3. The most teachers (93.1%) carried out the education of the oral hygiene care, but the teachers who performed the tooth-brushing education with the handicapped are the 24.7% of the answers. The schools for the handicapped having the program of oral hygiene were presented at the 48.5% of the answers & the schools in Seoul tend to have more programs than the other regions. 4. The visit for the dental treatment were revealed the 62.5% of the answers, and the charge-free, periodical visits were the most common form in circulating treatment. The most teachers(84.9%) answered that these treatment helped to the oral hygiene of the handicapped. 5. The priority of the support for the improvement of oral hygiene was given to the circulating dental treatment, but the hope for the dental treatment for the handicapped in future was the treatment of the appointed dental clinic. 6. The most teachers (94.6%) agreed to the need of the special dental clinic for the handicapped, the priority of department of the special hospital was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internal medicine, pediatrics, and the dentistry was the 7th-important department. 7. The teachers for the handicapped showed the good scores in the test for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oral hygiene, they marked 7-scores in 10-full scores. 8. The sex, academic career, working years, major field of the answers dose not influenced the recognitions & attitudes of the oral hygiene for the handicapp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교사들의 인식도 및 관리 태도를 통한 장애아동의 구강보건관리 실태 조사연구-
dc.title.alternative(A) survey of the status of oral hygienic care of the handicapped children through their teacher's recognititions & attitude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36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ee K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