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악골에 발생한 양성 치성종양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경예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0T05:54:42Z | - |
dc.date.available | 2015-11-20T05:54:42Z | - |
dc.date.issued | 1989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001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악골에 발생하는 병소중 치성조직에서 유래되어 발생하는 치성종양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국내에서 포괄적으로 조사한 예가 미비하다. 이에 저자는 양성치성종양으로 진단된 총 61증례를 대상으로 각 증례에 대한 임상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 조사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양성 치성종양으로 진단된 총 61예에서 법랑아세포종과 치아종이 52예 (85.3% )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나머지 9예 (14.7%)는 기타 6가지 치성종양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일반적으로 경계가 뚜렷한 규칙적인 변연을 가진 병소를 보였다. 2. 법랑아세포종은 총 27예 (44.3%)로 평균연령은 31.1세였으며 남녀발생비율은 3:1로 남자에서 빈발하였다. 환자의 주소는 종창이 20예 (74.0%)로 가장 흔하였고 다음으로 동통이 13예 (48.2%)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대부분 하악에서 발생했으며 하악체부를 포함하는 경우가 20예 (74.0%)였고 다방성이 17예 (7.0%)로 단방성보다 많았으며 병소에 인접한 치아의 치근흡수를 보인 경우는 16예 (59.3%)였다. 3. 치아종은 총 25예 (41.0%)로 평균연령은 16.9세였으며 남녀발생비율은 3:2로 남자에서 빈발하였다. 환자의 주소는 치아의 맹출지연이 8예 (32.0%)로서 가장 흔하였고 다음이 정기 방사선사진에서 발견된 경우로 7예 (28.0%)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에서 복합성 치아종이 17예 (68.O%)로 복잡성 치아종보다 많았고 다른 부위에 비해 복합성 치아종은 상악 전치부(41.0%), 복잡성 치아종은 하악 구치부 (50.0%)에서 더 많았으며 병소에 인접한 치아의 매복을 보인 경우는 19예 (76.0%)였다. [영문] The author observed and analyzed the age, sex, chief complaint and radiographic finding of sixty-one cases of benign odontogenic tumors seen in Yonsei Medical Center, for the period of Jan. 1979 to Aug.1989. The results were as fellows : 1. Benign odontogenic tumors of 61 cartes included 52 cameo (85.3%) of ameloblastoma and odontoma, and 9 cases of other lisions. Radiographically, the border of the lesions were well-defined. 2. Ameloblastoma constituting twenty-seven cases (44.3%) occurred the average age of 31.1years and had a 3:1 male predominance. The moat common complaint wart swelling (20 cases,74.0%) and fellowed by pain (13 cases, 48.2%). Radiographically, the most common site was mandibular body area (74.0%) and the lesions were mainly multiocular radiolucency ;in 17 cases (63.0%) and unilocular radiolucent lesion were seen in 10 cases (37.0%). 16 cases (59.3%) showed the resorption of roots of adjacent teeth. 3. Odontoma constituting twenty-five cases (41.0%) discovered at the average age of 16.9years and had a 3 :2 male predominance. The most common complaint was delayed eruption of tooth (8 cases,31.0%) and 7 cases (27.0%) detected on a routine radiograph of the area. Radiographically, 17 cases (68.0%) were of compound type and 8 were of complex variety and compound odontomas were common in the anterior maxilla, whereas complex odontoma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the posterior mandible. 19 cases (76.0%) showed the impaction of adjacent teeth.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악골에 발생한 양성 치성종양의 임상 및 방사선학적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Clinical and raidologic study of benign odontogenic tumors in the jaws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265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Gyeong Yea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