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932

Cited 0 times in

악골 섬유-골성 병소의 임상 빛 병리조직학적 연구

Other Titles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study of fibro-osseous lesions of the jaws 
Authors
 윤정훈 
Issue Date
198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악골에 발생하는 양성 섬유-골성 병소는 정상 골조직이 백악질이나 골양조직을 함유하는 섬유성조직으로 대치되는 병변에 대한 통칭으로서 이러한 병변의 분류는 매우 다양하며 발생기전 또한 종양성인지발육 장애성 혹은 대상성 중식인지 문제시되어 정확한 진단

및 치료에 혼란을 초래하여 왔다.

이에 저자는 악골내에 발생하는 섬유-골성 병소가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통된 분류가 없고 병리학적 연구가 충분치 않은 점을 감안하여 1977년 1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병리학교실, 영동세브란스병원 및 원주기독병원 병리과에 의뢰되어 악골 섬유-

골성 병소로 진단된 72세에 대해 임상 및 방사선적 소견을 검토하고 병리조직학적 양상에 다른 분포와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생기원별, 원인별 및 임상적 여건을 수용할 수 있는 분류를 시도하였다.

2. 총 72예 중 수질골 기원이 51예(70.8%)로 치주인대 기원 병소 21예(29.2%)에 비해 2배 이상 많았으며 수질골 기원으로는 섬유성이형성중이 31예(43.1%) 순이었다. 치주인대 기원으로는 골화성섬유종이 9예(12.5%)로 가장 많았으며 백악질-골화성 섬유종 4예(5.6%), 거대백악종 및 백악질섬유종 각각 3예(4.2%)씩, 백악아세포종 2예(2.8%) 순이었다.

3. 발생부위로는 치주인대 기원 병소는 상악에 5예 하악에 13예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하악구치부가 11예로 가장 호발하였다. 수질골 기원 병소는 상악 3예와 섬유성이형성중 4예는 악골을 다발성으로 침범하였다.

4. 방사선적 소견으로 치주인대 기원 병소는 거대백악종을 제외하고는 모든 병소가 주위와의 경계가 분명하였다. 수질골 기원인 경우 비종양성 병소는 모두 경계가 불분명하였으나 종양성 병소는 경계가 분명하였다.

5. 조직학적으로, 미성숙골은 치주인대 기원의 골 형성 종양과 수질골 기원의 섬유성이형성중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골양조직의 형성은 치주인대와 수질골 기원의 골형성 종양에서는 관찰되었으나 섬유성이형성중에서는 볼 수 없었다.

6. 이영양성 석회화 물질은 모든 섬유-골성 병소에서 관찰되기는 하나 골화성섬유종과 섬유성이형서중에서 현저하였으며 염증반응은 백악질 형성 병소에서만 동반되었다.

[영문]

Fibro-osseous lesions, as the conditions with a spectrum ranging from cementoid and/or osteoid forming tumors to dysplastic or inflammatory processes, are controversial in classification and terminology because of uncertainty of their origins and pathogenetic mechanisms.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classify these lesions based on the pathogenesis and analyze their clinical, radiographic and histologic characteristics.

Seventy-two cases of these lesions accessioned at the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Medical Center, YongDong Severance Hospital & Wonju Christian Hospital for ten years period from 1977 to 1986 are review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dified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athogenesis was proposed based on Cooke, Edwards & Corio, Waldron's classification.

2. Among 72 cases, 51 cases were medullary bone origin and 21 cases were periodontal ligament origin. The most frequent lesion of the medullary bone origin was fibrous dysplasia(31 cases, 43.1%), followed by 15 cases (20.8%) of osteoma, 4 cases of cemento-ossifying fibroma, 3 cases(4.2%) of gigantiform cementoma and cementifying fibroma in each, and 2 cases(2.8%) of cementoblastoma.

3. The lesions of periodontal ligament origin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posterior mandible, accounting for 11 of 21 cases. The majority of the lesions of medullary bone origin occurred in the posterior maxilla. Three cases of gigantiform

cementoma and four cases of fibrous dysplasia showed multifocal involvement of the jaws.

4. Radiographic study showed well-defined variegated appearance in all of periodontal ligament origin but gigantiform cementoma. Non-neoplastic lesions of the medullary bone origin were ill-defined whereas neoplastic lesions were well-delincated.

5. Histologically, immature woven bone was seen in the bone forming turmors of periodontal ligament origin and fibrous dysplasia of medullary bone origin. But no osteoid formation was observed in fibrous dyslasia, in contrary to bone forming

lesions of both origins.

6. Dystrophic calcifications appeared most fibro-osseous lesions of both origins, particularly in ossifying fibroma and fibrous dysplasia. Inflammatory reaction was found only in the cementum forming lesion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26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