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1311

Cited 0 times in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과 일상생활동작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Visual perception and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Authors
 김영희 
Issue Date
1995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증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시지각과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며, 관련된 요인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시지각을 평가하기 위하여 MVPT를 이용하였고,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평가하기 위해서 MBI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연세의료원 재활병원에서 포괄적인 재활치료를 받은 뇌졸증 환자 7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기간은 1994년 9월 10일 부터 1995년 4월 12일까지였다. MVPT점수, MBI점수와의 관련을 알아보기 위해 , t검정, x**2검정, 분산분석과 2요인 분산분석을

하였고, 시지각과 일상생활동작 수행간에 관련이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관련된 요인들이 옷입기 수행과 이동동작 수준변화에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편측 무시가 있는 군, 없는 군의 MVPT평균점수는 각각 32.76점, 24.25점으로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05)

2. 편측 무시가 있는 군과 없는 군의 MBI평균점수는 각각 69.49점, 95.91점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05)

3. 옷입기 수행과 이동동작 수행점수에 관련된 요인들은 연령, 치료기간, 입원시까지의 병력기간, 전경 배경(figure-ground), 시각적 구별(visual discrimination), 시지각 기억(visual memory), 공간 관계(spatial relationship)이었다.

4. 점수변화에 관련된 요인을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전경 배경(figure-ground) 시각적 기억(visual memory)이 옷입기 수행과 이동동작 점수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이었고, 설명력은 각각 51.8%와 46.3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시지각 능력중 전경 배경(figure-ground)과 시각적 기억(visual memory)이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러므로 뇌졸증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지각 능력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visual perception and it's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the Yonsei University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september 10, 1994 to Apri 12, 1995. Visual perception was measured by MVPT(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and MBI(Modified Barthel Index) to evalu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is study, 78 stroke patients were on admission used for the analysis a using the data t-test, chi square test, ANOVA, 2-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VPT mean score was significan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 unilateral neglect (32.76 points) and the group without unilateral neglect (24.25 points).

2. The MBI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 unilateral neglect (69.49 points) and the group without unilateral neglect (91.91 points).

3. Th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dressing skills and ambulation were age, treatment duration, time between onset of the stroke and the admission, figure ground,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memory, and spatial relationship score.

4. The factors influencing dressing skills and ambulation were figure-groud and visual mem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oth figure-ground and visual memory had a positive effect on 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Therefore, it is neccessary to emphasize the improvement of visual skills in order enh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1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