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640

Cited 0 times in

서울시 치과 기공사의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Dental Technicians 
Authors
 김지환 
Issue Date
1995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치과 기공사의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서울시 치과 기공사 협회에 등록된 치과 기공사를 모집단으로 하여 서울시에 존재하는 기공소별로 치과 기공사를 집락표본 추출한 19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한 자기 기입식에 의한 직접방문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1995년 4월 11일부터 4월 26일까지 15일간 이었다.

조사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로 정하고 독립변수는개인적 특성요인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 건강 통제위, 건강에 대한 동의정도, 건강의 관심도로 정하고, 필요성 인식과 건강에 대한 관심도의항목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식습관과 관

련된 필요성 인식요인, 건강 노력과 관련된 필요성 인식요인, 작업환경과 관련된 필요성 인식요인. 신체적 조절에 관한 관심요인, 식이에 관한 관심요인으로 변수안에 문항들을 상관분석을 통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항목만을 선별 추출하여 독립변수에 포함시켰다.

여러 독립변수들 가운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t 검정.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처리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 경력, 월수입, 직무. 근무시간, 흡연여부 , 음주항목들에서 통계학적으로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 예방적 건강행위 필요성 인식수준은 전체 평균점수는 86.7점 표준편차 9.4로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 평균점수 70.8점 표준편차 12.4 보다 높게 나타나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보다 필요성 인식수준이 높았다.

3. 건강 통제위에 따른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정도에 관한 수준은 내적 통제위 항목의 '낮다' 그룹에서 69.3점 표준편차 13.2, '높다'의 그룹에서 72.0점 표준편차 11.6으로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점수가 높은 그룹에서 높게 나타나 내적 통제위의 경향이 높을수록 예방적 건강행위의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4.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필요성 인식요인으로 나타났으며(81%), 필요성 인식요인 중에도 작업환경 필요성 인식요인(61%)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결정 계수는 0.85 였다.

결론적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과 건강 통제위, 건강의 관심도, 예방적 건강행위 필요성 인식수준에 따라 예방적 건강행위 실천도의 수준에 차이가 있을 것 이라는 가설을 지지 하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연구도구를 개발한 비 표준화도구이며 타당성 검증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서울시에 존재하는 치과 기공소 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우리나라 전체를 대표하는 자료로 볼 수 없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

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치과 기공사의 상황변수등 여러가지 변수를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치과 기공소내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he needs for and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of dental technicians. The reasons for not practising preventive health behaviou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eds for and the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were

investigated.

Self - administer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00 registered dental technicians in Seoul of whom 196 technicians responded in April, 1995. The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formation o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and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of the dental technician. Wallston and Wallston`s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concern, duration of work, and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gathered. Data were collected during fifteen days from April 11th to 26th, 1995.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descriptive statistics, group t - test, chi square,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actor anylysis, and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ata were analysed using software SAS for IBM AT 386

personal compu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gard to the recognition of the needs for preventive health behaviour of the dental technicians, the average score was high(86.7) and the average score for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was low(70.1)

2. Of the 23 items related to preventive health behaviour 11 of the item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eeds for and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3.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actice of preventive health behaviour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practising preventive health behaviour between dental technicians high or low groups in internal characteristic of Wallaston and Wallaston`s health locus of control(p〈0.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ecial efforts would be needed to take measures connecting health needs and practising among dental technicians.

Further researches are highly expected in this area taking account of confounding variables on which this study could not focus, however.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67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