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435

Cited 0 times in

일 작업장 근로자의 청력변동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s in the Hearing Threshold Level 
Authors
 조의영 
Issue Date
1995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음성 난청은 그 발생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회복이 불가능한 점, 그러나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관리 측면 때문에 산업보건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작업장 근로자들의 청력은 작업장의 소음 이외에도 노인성 난청, 질병, 비직업적 소음폭로 등 여러가지 요인들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nested 코호트 연구 방법으로 일 산업장 근로자들의 청력 변동에 영향을 미친 근로자의 개인적 혹은 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 산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중 설문 조사에 응답한 647명중 기초 청력 검사 결과가 정상인 435명을 대상으로 청력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근무장소의 평균 소음수준은 79.2 dB(A)이며, 평균 청력 변동 측정기간은 62.9 개월이다. 오른쪽 귀의 평균 청력 변동은 1.2 dB(A)이며, 왼쪽 귀의 평균 청력 변동은 0.3dB(A)이다

2. 대상자의 작업장 소음이 청력 변동에 미친 영향을 보면 배경 소음에 노출된 대상자의 청력 변동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고소음 작업장의 순이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였다.

3. 대상자의 과거 이질환 경험 유무가 청력 변동에 미친 영향을 보면, 과거 이질환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서 청력 변동이 많으며, 특히 왼쪽 귀의 청력 변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이완기 혈압과 왼쪽 귀의 청력 변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청력 변동 측정기간과 오른쪽 귀의 청력 변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연령과 양측 귀의 청력 변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7. 이상의 분석에서 청력 변동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근무 장소소음수준, 과거 이질환 경험유무, 연령, 청력 변동 측정기간이었으며, 청력 변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 특성을 단계적 중회귀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오른쪽 귀의 청력변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배경 소음이었고, 왼쪽 귀의 청력 변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이었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 한 바 청력 변동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작업장 소음 중에서 배경소음 작업장이었다. 이에 연구대상 작업장의 산업 간호사는 배경소음 작업장 근로자의 청력에 대한 건강 관리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Noise-induced hearing loss ranks among one of the most important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due to its high prevalence, the disability and potential costs it creates and the potencial for preventing it. Not all individuals with a given noise level develop the same degree of hearing loss. There is a great individual variation such as, presbycusis, disease, non-occupational agents and susceptibilit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imate host an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 of the change in the hearing threshold level(CHTL) in one company using a nested cohort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435 workers who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and whose initial hearing threshold level were all within normal rang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workplace noise level was 79,2 dB(A). The mean duration of observed CHTL was 62.9 months(5.2 years). And mean CHTL of right and left ear was 1.2 dB(A) and 0.3 dB(A) respectively.

2. CHT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workers, who had a past history of ear disease in left ear(p=0.05) and those who worked in environment with back noise with respect to both ear(Rt p=0.02, Lt p=0.03).

3. CHTL in the left ea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stolic blood pressure(r=0.109, p=0.05). The duration of observed CHTL in the right ear(r=0.093, p=0.05) and age for both ears(r=0.129, p=0.00).

4. Analyzing of the effect of influential factors to CHTL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fter established significant fators in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noise level(back nois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right ear(p=0.01) and ag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for the left ear(p=0.0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the company should be more active in dealing with activites to promote hearing conservation necessary especially in workers whose noise level was back nois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84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6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