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601

Cited 0 times in

환자의 지정진료선택과 관련한 진료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medical care services related to an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Authors
 정주운 
Issue Date
1995
Description
보건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지정진료 선택환자의 진료만족도에 대한 주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1994년 10월 18일 부터 10월 22일 까지 서울에 소재하여 지정진료를 하고 있는 1개 대학병원과 1개 3차 병원, 1개의 2차병원에 내원하여 지정진료를 신청한 외래환자 450명을 대상으로 진료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회수된 설문은 302건 이었다.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정진료 신청환자의 일반적 특성 중, 각 의료기관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성, 거주지, 직업, 교육수준, 월수입, 진료비 지불방법이었다.

2. 지정진료 신청환자의 지정진료 이용양상과 관련된 변수중 진료과목, 의료기관 선택권유자, 자신의 질병상태, 일반진료의 수진여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3. 지정진료의 인치도와 관련하여 지정진료 인식경로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주변사람을 통해 알게된 경우와 병원직원의 설명이었다.

4. 지정진료의 만족도에 대해 8가지의 변수를 분석한 결과 진료의 질, 대기시간, 진료결과의 설명, 특정의사의 선택가능성, 전체만족도의 5개 변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5. 지정진료환자의 만족도와 추후 지정진료의 재신청의사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도출된 5개의 변수로 판별분석한 결과진료의 질, 대기시간, 지속적인 건강상태 파악, 치료효과, 전체만족도가 지정진료 신청을 결정하는 변수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간추려 보면, 지정진료 신청환자들은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후 특정의사를 선택하여 진료초과와 관련된 만족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는 수준 높은 진료를 받기 위한 방편으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특정의사의 지명도를 근거로 의료기관을 방문하고 있는 경향을 볼때, 환자가 기대하는 진료 수준이외에 지정진료 등 의료이용제도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을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병원은 환자와 의사가 지정진료제도를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의료이용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좋은 진료를 제공하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지정진료 신청환자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함에 따라 잠재적인 지정진료 신청환자, 지정진료를 시행하지 않는 의료기관 환자등이 변수로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지정진료 제도에 대한 의료기관의 인식과 운영에 대한 변수가 언급되지 않았고, 환자행태에

대한 혼란변수를 제거하지 않았다.

추후 이러한 변수를 포함한 지정진료 신청환자와 지정진료 비신청환자간의 진료만족도 연구와 외래와 입원을 모두 포함하는 지정진료 이용양상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In order to clarify major factors concerning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who apply for an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in which a specific doctor is chosen by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50 outpatients who had applied for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at a university hospital, a tertiary care hospital, and a secondary care hospital. This was done through samples taken in a period from Oct. 18, 1994 to Oct. 22, 1994. Of 4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02 ca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to an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in patient's sex, residence, profession, level of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payment.

2. With respect to utilization of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by patient, variables such as medical department, adviser encouraging to choose appointing system, current condition of the patient, and provision of general medical care were shown to be statistic ally significant.

3. With regard to recognition of an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variables of cognitive rout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the people who had previous knowledge of system and the hospital personnel.

4. Analyzing 8 variables affecting patient's satisfaction in the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5 variables - i.e., the quality of medical care, waiting time, explanation of the result of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selection of doctors, and general satisfaction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5. Among the variables, 5 variables including the quality of medical care, waiting time, understanding of health, the effect of medical care, and general satisfation were decisive variables which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the patien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apply for appointing medical care

services.

In summary, it appears that most of the patients who had applied for an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which allows patients to be treated by a designated doctor genenally satisfied with the system. Therefore, assessment of patients needs for higher quality of medical care through utilization of appointment medical care system is necessary.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39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9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