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992

Cited 0 times in

편마비 환자의 기립시 하지체중지지 특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characteristics of weight bearing in hemiplegic patients when rising from chair 
Authors
 안덕현 
Issue Date
1994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편마비 환자가 의자에서 일어났을 때 강직의 유, 무별, 마비측 간에 일어나는 상태(일상시, 균등시, 빠르게)와 기립 후 시간경과(5초, 10초, 15초)에 따라 환측과 건측하지에 실리는 체중지지 비율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세대학교 재활병원에서 통원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중 뇌졸중, 뇌외상, 뇌종양으로 인하여 편마비라고 진단받은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Limb Loader(Model LLO-2000 Verl.2)를 이용하여 양 하지에 실리는 차이를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건측 하지와 환측 하지간의 체중지지 비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환측보다 건측 하지에 더 많은 체중을 실었다. 비율의 차이는 빠른 기립군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상적 기립군이며 균등한 기립군이 가장 낮았다.

2. 체중지지 비율의 차이는 일어나는 상태에 따라서 강직이 없는 집단보다 강직이 있는 집단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3. 기립 후 5초, 10초, 15초 후에 측정된 체중지지의 비율은 강직이 있는 집단과 강직이 없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체중지지 비율의 차이는 일어나는 상태에 따라서 좌측 편마비군이 우측 편마비군 보다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5. 기립 후 5초, 10초, 15초 후에 측정된 체중지지의 비율은 좌측 편마비군과 우측 편마비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편마비 환자가 의자에서 기립시 강직의 유, 무나 마비측별 일어나는 상태에 따라서 양 하지의 체중지지 비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균등히 양 하지에 체중지지를 하게 지시를 받은 후 의자에서 일어났을 때 그 차이 값이 적어진 것은

환측 하지로의 체중지지 능력이 증가되었음을 나타낸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weight bearing on affected side compared with sound side when hemiplegic patients trying to stand up from a chair.

The study subjects were 27 hemiplegic patients including l6 cerebrovascular accident, 6 head injury, 5 brain tumor and their average age was 53.3 years.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Yonsei University Rehabilitation Hospital from March 15, 1994 to April 10, 1994. And the weight bearing was measured by Limb Loader (MODEL LLD 2000 Ver 1.2) and analyzed by 2 way repeated measures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tio of weight bearing between the affected and sound sides, but the load being more on the sound side than affected side.

The difference of ratio was biggest in the group of rapid standing, the next was the group of habitual standing and the least was the group with instructions for even load.

2. Th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astic group than in the non-spastic group according to standing situation.

3. The ratio of the loads which was measured at 5, 10, and 15 seconds after initial stand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spastic and non-spastic.

4. The ratio of the loa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of left hemiplegia compared to that of right hemiplegia according to standing situation.

5. The ratio of the loads which was measured at 5, 10, and 15 seconds after initial stand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right hemiplegia and left hemiplegia.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4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