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765

Cited 0 times in

뇌정위생검술을 이용한 뇌질환의 진단

Other Titles
 Stereotactic biopsy in the diagnosis of brain lesions 
Authors
 진동규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저자는 뇌정위생검술의 유용성은 알아 보고자 1980년 1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에 입원하여 진단 및 치료목적으로 뇌정위생검술을 받은 9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기록 및 치료성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뇌정위생검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병소가 뇌심부에 위치하거나, 흑은 운동중추, 언어중추등 중요한 뇌구조물 근처에 위치할지라도 생검술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행할 수 있었다.

2. 뇌정위생검술을 시행한 총 99명의 환자중 84%는 정착한 조직진단이 가능하여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고, 4%는 정확한 병인을 알 수는 없었지만 비종양성 뇌질환이라는 것을 확인함으로퇴 치료방향을 설정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127는 조직진단과 치료방향의 설정에 실패하였다.

3. 뇌정위생검술은 뇌농양(4례), 결핵종(3례), 바이러스성 뇌염(2례), 기생충감염 (2례)등 뇌종양과 감별을 요하는 비종양성 뇌질환의 진단에 도움이 되었고 또한 생검술의 과정 자체가 치료방법이 될 수도 있었다

4. 뇌정위생검술의 조직진단 정확도는 78%로서, 뇌정위생검술로 조직진단을 확인한 후 외과적 적출을 시행한 9례의 환자중 7례에서는 조직진단이 일치하였고 2례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5. 전체 대상환자의 12%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이중 출혈이 92%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일과성이었으며, 영구적 장애는 전체 대상 환자중 3%에서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뇌심부나 중요한 뇌구조물에 발생한 뇌종양의 조직생검 및 비종양성 뇌질환의 감별진단에 뇌정위생검술을 사용함으로써 이들 환자의 진단및 치료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e clinical data and biopsy results of 99 patients, who received stereotactic brain biopsy from January, 1980 to July, 1994. were analysed to evaluate its usefulness in the diagrusis of brain lesiona.

1. Stereotactic biopsy was a safe technique for deep seated legsions or lesions in functionally eloquent areas

2. In 99 cases of stereotactic biopsy, definitive pathologic diagnosis and appropriate treatment plans were possible in 84% of the cases. In 4% of the cases, definitive pathologic diagnosis could not be made, but treatment plans were possible as they were found to be non-tumporous lesions. Neither definitive pathologic diagnosis nor treatment plan could be made in 12%

3. Stereotactic biopsy was also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non-tumorous lesions such as brain abscess, viral encephalitis, parasitic infections and granuloma of tuberculosis or other origins, and it was also useful for therapeutic purpose.

4. Twelve out of 99 cases(12%) had complication. Eleven cases(92% of complication) were complicated by hemorrhage at the biopsy site. Most of them showed transient neurologic deterioration, but 3 cases resulted in permanent complications.

From the above results, stereotactic biopsy was fouod to be an useful techniqu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ain lesions located in deep or functionally eloquent area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0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in, Dong Kyu(진동규)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835-929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