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727

Cited 0 times in

고양이의 상후두신경 뇌간유발반응

Other Titles
 Superior laryngeal nerve brain stem evoked response in the cat 
Authors
 김영호 
Department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후두의 하기도 방어기능은 후두내 점막의 촉각수용체가 자극될 때 후두근육이 반사적으로 수축하여 성문이 닫히게 되는 성문폐좨반사(glottic closure reflex)로서 다접합 뇌간반사반응이며 이러한 후두반사가 과민한 경우에는 급성영아사망증후군등 여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종(species)의 동물실험을 통하여 후두뇌간유발반응이 연구되어왔으나 아직 반응의 각파형에 대한 발생원(generator Source)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며, 같은 실험조건하에서 원격전장전위측정파 근접전장전위측정을 동시에 시행하여 동일한 종에서 개체간에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차이를 줄여 본 시도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연구자는 20마리의 성숙한 고양이의 상후두신경의 내지를 전기적으로 자극한 후 원격전장전위방법 및 근접전장전위방법으로 후두뇌간유발반응을 기록하여 각 파형의 모양과 잠복기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각 전위가 후두내전반사 경로에서 기원하는 신경해부학적 위치 즉, 발생원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후두내전반사의 평균 잠복기는 8.61msec였다.

2. 원격전장전위방법을 이용하여 뇌간유발반응을 측정한 결과, 반복재생이 가능한 5개의 양성파와 음성파를 기록하였는데 N^^5 파는 항상 나타나지는 않았고 2마리의 동물에서만 반복성 있게 관찰되었다.

3. 마디신경절 상방에서 미주신경을 절단한 결과, 일부 파형의 소실 및 전반적인 잠복기의 연장소견이 관찰되었다. P^^1 , N^^1 , P^^2 까지의 파형은 절단하기 전과 같이 반복성이 유지되었으나 그이후의 파형은 반복성의 결여를 보였으며 N^^5 과는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4. 마디신경절 하방에서 상후두신경을 절단한 결과, 유발음영(triggering artifact)이라 볼수 있는 파형 이외의 의미있는 파형이 관찰되지 않았다.

5. 근접전장전위방법을 이용하여 뇌간유발반응을 고립로핵(nucleus tractus solitarius)부위에서 측정한 결과, 1.59∼4.49msec의 잠복기 범위에서 반복성 있는 파형이 기록되었다.

6. 근접전장전위방법을 이용하여 뇌간유발반응을 의핵(nucleus ambiguus)부위에서 측정한 결과, 본 연구결과로는 발생원을 추정할만한 반복성 있는 파형을 기록할 수 없었다.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상후두신경의 전기자극 후 원격전장전위방법으로 기록한 뇌간유

발반웅의 파형중 P^^1 , N^^1 , P^^2 는 미주신경의 마디신경절에서 기원한파형으로 생각되었으며, P^^2 , N^^2 , P^^3 는 근접전장전위방법으로 측정한 잠복기범위와 비교해 볼 때 고립로핵을 발생원으로 갖는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증명할 수 없었지만, 기왕에 근접전장전위방법으로 측정 보고되었던 의핵의 잠복기범위와 비교 고착하여 볼 때 N^^3 , P^^4 , N^^4 , P^^5 는 의핵이 발생원이라고 추정하였다.

[영문]

Laryngeal protective reflex is a glottal closure reflex triggered by tactile receptors in the glottic and supraglottic mucosa, which evoke reflexive contraction of laryngeal musculature. Exaggeration of this normally protective reflexes is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several disorders, including the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Although the laryngeal brain stem evoked response(LBR) has been studied in several species of animals, the generator sources of each waves were not precisely demonstrated ye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cord the near-field brain stem activity as well as the far-field brain stem activity in the cat under the same experimental set-up and to search for the generator sources of the waves.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LBR tracings were recorded adjacent and within the brain stem fellowing direct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in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SL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n latency of laryngeal adductor reflex response was 8.61msec.

2. By far-field technique, a total of five reproducible positive and negative waves were detected, with mean latencies ranging 0.73 ∼ 6.57 msec.

3. After supranodosal vagotomy, only P^^1 , N^^1 , P^^2 waves showed reproducibility.

4. After sectioning the SLN, no waves were reproducible except triggering artifact.

5. By near-field technique, reproducible waves were recorded around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region in the latency range of 1.77∼4.49 msec.

6. No reproducible waves were recorded around the nucleus ambiguus re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1 , N^^1 , P^^2 waves of far-field recording are originated from the vagus nerve. And P^^2 , N^^3 , P^^3 waves are thought to be originated from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comparing the far- and near-field data in this study. Through a comparison of the far-field data in this study with prior near-field reports, nucleus ambiguus was speculated as the generator source of N^^3 , P^^4 , N^^4 , P^^5 wav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24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Young Ho(김영호)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