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072

Cited 0 times in

Enflurane을 이용한 전신마취 후 Physostigmine이 각성 및 호흡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hysostigmine on arousal and respiration after general anesthesia with enflurane 
Authors
 임재진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최근 외래환자에게 수술을 위하여 시행되는 마취(외래 마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외래 마취는 수술을 시행한 후에 환자가 마취에서 빨리 회복되어 퇴원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신경외과 수술이나 정형외과 수술 도중 수술로 인한 신경손상 여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신경전달상태를 검사할 경우 환자의 의식을 마취에서 빨리 회복시킬 필요성(wake-up test)이 증가하게 되었다. 전신마취를 시행하는 방법에는 정맥마취와 흡입마취방법을 주로 이용하는데 각 방법에 따른 각성 방법도 각기 다양하다.

정맥마취인 경우 각성을 시키기 위하여는 사용한 약물에 대하여 길항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길항제가 없는 경우에는 체내에서 대사되어 배설될 때까지 기다릴 수밖에 없다. 흡입마취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흡입된 마취제가 폐를 통하여 체외로 배출되기를 기다리는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개 30분 내외이다. 이러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시도로 3가 아민계약물인 physostigmine이 이용되어 왔다. 1978년에 Horrigan은 halothane 전신마취후 physostigmine 투여가 환자의 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1984년에 Roy와 Stullken은 halothane으로 전신마취 후 physostigmine이 뇌파검사법에 의한 각성을 일으킨다고 하였다. Enflurane은 halothane에 비해 생체대사율이 낮으며 isoflurane보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흡입마취제이다. 그러나

enflurane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으며 단편적인 연구에 불과하다. 이에 저자는 흡입마취제인 enflurane으로 전신마취 후 physostigmine 정맥주사가 환자의 호흡과 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착수하게 되었다.

저자는 원주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하는 환자등 중에서 뇌,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이상소견이 없으며 30분 내외의 수술을 시행받는 부인과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enflurane 전신마취 후 physostigmine 정맥주사가 수술후 각성과 호흡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보았다. 모든 대상 환자는 수술 8시간 전부터 공복상태를 유지시켰으며 환자의 의식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처치는 시행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를 앙와위 상태에서 thiopental sedium 5mg/kg을 정주하여 마취를 유도한 후 mask를 이용한 순환 방식으로 50% O^^2 -50% N^^2O -enflurane을 흡입시키면서 마취 유지를 하였다. 호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근이완제는 사용하지 않았으며 수술종료 직후와 수술 종료후 1, 3, 5, 7, 10, 15, 20, 30분 때의 혈압, 맥박수, 호흡수, 일회 호흡량, 호기말 enflurane 농도를 측정하였다. 질량분광 계측기(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전신마취 중 호기말 탄산가스 농도가 40mmHg±5mmHg 되도록 환자의 호흡을 보조하였다. 폐활량계(spirometer)로 일회 호흡량 및 일분간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수술 종료후 환자의 회복 정도는 통증반응, 단순명령에 눈을 뜨는 능력, 시간, 장소 및 인물인지 등의 지남력이 돌아오는 시간으로 판단하였으며 이 때의 호기말 enflurane 농도를 측정하였다. 50명

의 대상환자를 무작위로 두 군으로 나누어 30명을 대조군으로, 20명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에서는 수술종료 직후에 physostigmine 0.02mg/kg을 30초에 걸쳐서 서서히 정주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전술한 마취회복지표들을 양군에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통증반응은 대조군이 평균 5.1±2.4분인데 비하여 실험군은 평균 3.5±2.1분이었다. 둘째, 단순명령시 눈을 뜬 시간은 대조군이 평균 8.5±2.3분인데 비하여 실험군은 평균 3.5±2.1분이었다. 셋째, 지남력 등이 돌아온 시간은 대조군이 평균 9.7±2.8분인데 비하여 실험군은 평균 7.5±2.1분이었다. 넷째, 시간 경과에 따른 호흡의 변동은 양 군간에 의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enflurane을 사용한 전신마취 후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알았던 대조군에 비해 physostigmine을 사용한 실험군에 있어서 환자의 의식회복시간이 짧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Physostigmine has been used to counteract somnolence or coma induced by different types of pharmacological agent, such as anticholinergics, opioids, ketamine,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inhalational anesthetics. Physostigmine is a tertiary amino anticholinesterase that passes blood brain barrier, so it increases acetylcholine concentation at postjunctional membrane.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the effect of physostigmine on recovery of arousal and respiration after inhalational anesthesia.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because of different experimental designs according to researcher. In this study, I have assessed the effects of physostigmine on arousal and respiration after 50% N^^2 O-50%O^^2 -enflurane general anesthesia under controlled condition such as no premedication,

no neuromuscular blockade, same operative procedure and duration. Fifty healthy gyencologic patients scheduled for dilatation & curretage and cervical cone biopsy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such as control group and physostigmine group. In physostigmine group, 0.02mg/kg of physostigmine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the end of operation. I evaluated the recovery time of pain response, eye opening on verbal command and orientation after the end of operation.

I also checked the end-tidal enflurane concentration with (SARA^^CAP)**(R) spectrometry. Blood press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and tidal volume were checked the end of operation and at the time of each recovery parameters retur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pain response time was 5.1 ±2.4minutes i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3.5±2.1 minutes in physostigmine group. Second, on simple order to patients, eye opening time was 8.5±2.3minutes i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6.5±2.1minutes in physostigmine group. Third, recovery of

orientation to time, place and person was 9.7±2.8minutes i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7.5±2.1minutes in physostigmine group.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ory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H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nd-tidal enflurane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spite of rapid recovery time in physostigmine group. I suspect the reason may be due that the enflurane concentration was too low to check with the (SARA^^CAP)**(R) spectrometry during the recovery time.

In conclusion, 0.02mg/kg of physostigmine has the effect of early arousal after enflurane anesthesia without specific problem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349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