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1513

Cited 0 times in

무릎관절 주위 근육, 인대, 관절반달의 미세해부 및 형태계측

Other Titles
 Topographical anatomy and morphological measurement of muscles, ligaments and menisci of knee 
Authors
 김유철 
Department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Issue Date
199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무릎관절의 힘줄, 인대와 관절반달의 형태학적 유형을 구분하고 계측하여 각 인대의 출현빈도와 기능을 밝히고 해부한 구조와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하여 임상분야에서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술현미경을 이용하여 한국인 무릎 50쪽을 해부하여 무릎의 힘줄과 인대의 형태변이를 관찰하고 관절반달의 유형을 나누었다. 인대와 관절반달의 계측은 0.05mm 밀림자로 하였다. 무릎의 미세해부구조를 자기공명영상에서 구분하기 위해 무릎 5쪽에서는 절단표본과 비교하였으며, 5쪽에서는 해부를 한 후 영상을 얻어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막모양근은 다섯 갈래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해부한 결과 반막모양근의 한 갈래인 경사오금인대가 다시 두 갈래로 나누어지면서 외측관절반달로 합쳐졌으며, 그 빈도는 40.5%이었다.

2. 대퇴두갈래근은 비골에 닿는곳이 대부분에서 비골머리의 뒤외측부분이었으며, 그 중 62.5%에서 궁상오금인대와 연결되어서 대퇴두갈래근을 잡아당겼을 때 궁상오금인대가 팽팽해졌다.

3. 궁상오금인대는 부착부위가 다양하였으며, 오금근힘줄과는 위쪽 1/3에서 연결이 되어 있으며 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지만 여러 층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어 다양한 형태를 보였다.

4. 종자골비골인대는 44.4%에서 있었으며, 이 가운데 종자골이 없는 경우가 33.3%였다.

5. 오금근비골인대는 37.5%에서 있었으며 대부분 비골쪽곁인대의 중간부분에서 오금근힘줄로 연결되었다.

6. 근위쪽에서는 관절낭 외측부분에 부착되어 아래로 내려오면서 오금근의 깊은 곳으로 주행하고, 원위쪽에서는 경골 뒷면의 중간부분으로 붙는 인대가 31.4%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7. 서양에서는 앞, 뒤반달대퇴인대가 각각 30%에서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해부결과 뒤반달대퇴인대만 있었으며 앞반달대퇴인대는 없었다. 뒤반달대퇴인대의 빈도는 89.3%로 거의 대부분에서 관찰되었다.

8. 가로무릎인대는 67.6%에서 있었으며 그 모양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는데, 이 가운데 줄기의 형태로 굵게 있는 형이 72.2%로 가장 많았다.

9. 십자무릎인대의 굵기와 크기를 계측하였으며 서양인의 것과 차이를 보였다.

10. 무릎관절반달은 모양에 따른 분류에서는 내측관절반달의 경우 열린형이 40.6%로 가장 많았으며, 외측관절반달의 경우 중간형이 71.9%로 가장 많았다. 뿔의 크기에 따른 분류에서는 내측관절반달은 뒤뿔이 앞뿔보다 매우 넓은형이 62.5%로 가장 많았고 외측관절

반달의 경우 앞뒤뿔의 크기가 같은 경우가 90.6%로 가장 많았다. 이 두 가지 유형을 조합할 때 내측관절반달의 경우 열린형이면서 뒤뿔의 크기가 매우 넓은 경우가 37.5%, 외측관절반달의 경우 중간형이며 앞뒤뿔의 크기가 같은 경우가 68.8%로 가장 많았다.

11. 자기공명영상과 무릎을 절단한 단면을 비교한 결과, 경사오금인대를 확인하였으며 오금근의 경계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자기공명영상을 얻은 후 해부를 하여 비교한 결과 반막모양근이 외측관절반달에 붙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뒤외측부분의 자기공명영상에서 궁상오금인대, 비골쪽곁인대, 오금근비골인대와 종자골비골인대를 구분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첫째로 반막모양근이 외측관절반달에 연결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미루어보아 근육이 수축하여 무릎을 구부릴 때 외측관절반달이 뒤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로 대퇴두갈래근과 궁상오금인대복합체가 많은 경우에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수술할 때 대퇴두갈래근을 앞으로 잡아당겨주면 무릎의 뒤외측 불안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로 뒤반달대퇴인대는 한국인에서는 거의 모든 경우에서 있기 때문에 자기공명영상사진에서 무릎관절반달이 찢어진 것과 구분해야 할 것이다. 넷째로 십자무릎인대는 외국인의 것보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기 때문에 십자무릎인대 손상 후 재건수술 때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섯째로 자기공명영상에서 무릎 뒷부분의 여러 작은 힘줄과 인대들을 실험적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이같은 시도를 계속하고 임상에서 이를 토대로 한 비교 관찰을 한다면 이 부위의 진단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With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of the different morphological types of tendons and ligaments of the knee joint, incidence and function of the ligaments were studied. By comparing the Magnetic Resonance Images(MRI) with the anatomical

structures, it may offer an aid in clin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field.

Forty knees from cadaver were dissected using surgical microscopes.

Cross-sections of the cadaver knees were compared with MRI before and after dissec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blique popliteal ligament, which is one of the continuations of the semimembranous muscle in knee, splitted into two distinct parts, one of which being attached to the lateral miniscus in 40.5% of the studied knees.

2. The biceps femoris muscle had its fibular attachment in the posterolateral aspect of the fibular head in most of the cases, and in 62.5% it was attached to the arcuate ligament. In those cases, the arcuate ligament became taut, when the biceps femoris muscle was pulled.

3. The arcuate ligaments attatched at variable site and there are connection with popliteus tendon at superior one third. Arcuate ligaments, in most of cases, composed of single layer but there are also multi-layered arcuate ligaments.

4. The incidence of the fabellofibular ligament was 44.4%, and there was no fabella present in 33.3%.

5. The popliteofibular ligament was present in 37.5%, and in most cases it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ibular collateral ligament.

6. In 31.4% of the dissected knees, a ligament attaching the lateral joint capsule at proximal portion and the posterior middle portion of tibia at distal portion was found which is located under the popliteus muscle.

7. In Western studies,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meniscofemoral ligaments were reported to be present in 30% each, however, in Korean cadavar knees, there was no anterior meniscofemoral ligament and the posterior counterpart was found in 89.3%.

8. The transverse genicular ligament was present in 67.6%, and was classified into 3 types with thick type(72.2%) most common.

9. The cruciate ligaments' measurements were generally smaller than those of the Western studies.

10. I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menisci, open type of medial meniscus was most common with 40.6%, and intermediate type of the lateral meniscus was most common with 71.9%.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he size of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horns, posterior horns were much larger than the anterior one in 62.5% of medial meniscus, and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horns were similar in size in 90.6% of lateral meniscus. In combination of this two classification, A4 type, open and posterior horns were much larger than the anterior one was most common in medial meniscus with 37.5% and B3 type,

intermediate and anterior and posterior horns were similar in size was most common in lateral meniscus with 68.8%.

11. Through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MRI and the cross-sectional studies of the knee, the oblique popliteal ligament and the boundaries of the popliteus muscle could be identified in the MRI. After the MRI, dissections were done to

identify the attachment of the semimembranous muscle to the lateral meniscus.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of the arcuate ligament, the fibular collateral ligament, the popliteofibular ligament, and the fabellofibular ligament were identified in

the MRI.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linical considerations could be made. First of all, on knee flexion, lateral meniscus may be pulled posteromedially with the pulling action of semi-membranous muscle because of its attachment to the

lateral meniscus. Second, due to the biceps femoris muscle's attachment to the arcuate ligament, anterior pulling operation of the biceps muscle may improve the posterolateral instability. Third, in the MRI, posterior tearing of the menisci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posterior meniscofemoral ligament image especially in Koreans because it is present in most of the cases. Fourth, because the cruciate ligaments are smaller in Koreans, the size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reconstructive surgery of those ligaments after injury. Last of all,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of the knee could be identified in the MRI when compared to cadaver dissections and cross-sections; and more comparative studies in cadaver knees, fresh knees, and clinical settings will aid in more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nd more accurate diagnosi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0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Kim, You Chul(김유철)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7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