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818

Cited 0 times in

투습방수 침구카바 사용이 알레르기 면역반응과 천식증상에 미치는 영향 : 성인 기관지 천식환자를 대상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bedding cover made of a vapour-permeable water proof fabric on allergic immune responses and clinical symptoms in house dust mite- 
Authors
 강성숙 
Issue Date
1994
Description
보건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빈도가 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증가 추세이다. 알레르기 원인 물질인 집먼지 진드기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흡입성 알레르겐이며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과 인과관계가 확실히 규명되어 있다.

집먼지 진드기는 대기중 상대습도, 온도등의 조건하에 성장률, 번식률에 차이가 있으며 주먹이는 인설(사람의 각질, 비듬)이다.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중증도는 감작정도와 비례하는 특이 IgE농도, 비반세포 등 작동세포의 반응도, 중상 발생장기의 과민도 및 집먼지 진드기의 농도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관여하므로 알레르기질환의 치료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집먼지 속에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 수효를 적절히 억제하고 회피할 수 있는 환경 조절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집먼지 진드기에 대한 의학적인 중요성에 대한 임상연구 보고는 많으나 실질적인 환경 조절방법에 대한 실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주거환경 중 집먼지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고 있는 침구류 (요, 이불, 베게)에 외국의 선

행연구에서 집먼지의 량과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투습방수 천과 유사한 한국제품 'HIPORA'로 침구 카바를 제작, 투습방수카바군과 일반침구카바군간의 침구 먼지량,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Der pI, Der fI)의 량을

분석하며 이와 관련된 면역반응의 변화와 천식중상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우리나라 침구류에 투습방수 천으로 제작된 카바의 사용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2년 10월부터 1993년 5월까지 Y의료원 알레르기 내과를 내원한 집먼지 진드기(Dermatophgoides pteronyssinus, Defmatophagoides farinae)가 주 원인인 외인성 기관지 천식환자 중 면역치료를 실시하지 않은 성인20명을 유의표출하여 이 중 무작위 추

출법으로 배정된 10명은 투습방수천으로 제작된 침구카바를 사용토록 하고, 10명은 본인들이 사용하는 침구중 투습방수카바와 크기가 비슷한 것을 선택, 사용토록 하였다.

1993년 6월부터 동년 12월까지 매달 둘째주 2-3일간 연구자가 침구류의 먼지를 채집, 먼지량을 측정, 채집한 먼지내에서 Der pI과 Der fI 알레르겐 량을 측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알레르기 면역반응의 변화, 천식중상의 변화와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 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 Pearson correlation, Wilcoxon rank sums tests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침구카바군과 투습방수카바군 모두 연구 개시한 6월보다 매월 먼지량은 감소하였고, 특히 투습방수카바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여 (P<.001), 투습방수 천으로 제작된 카바 사용시 집먼지 량의감소에는 효과가 있었다.

2. 우리나라 집먼지내에는 Der pI과 Der fI이 공존하며 연구기간 동안 Der pI량의 평균은 602.6ng/gm of dust Der fI량의 평균은 1,384.7ng/gm of dusts Der fI이 더 높은 분포를 보였다.

3.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 (Der pI + Der fI)량은 일반침구카바군에서 7월, 10월에 평균 2ug이상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투습방수카바군에서 9월,10월에 평균 3ug이상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감작을 일으키는 group I 알레르겐 농도(2ug/gm of dust)이상의 검체가 일반침구사용군에서는 25.7%, 투습방수카바군에서는 27.1%로 나타났으며, 중상을 유발하는 농도(10ug/gm of dust)이상의 검체도 일반침구카바군에서 5.7%, 투

숩방수카바군에서 4.3%로 나타났다.

4. 일반침구카바군과 투습방수카바군간의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의 량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투습방수카바군에서 8월, 9월, 10월에 Der fI의 량이 높은 분포를 보임으로 투습방수카바 사용은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 량의 감소에는 특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5.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의 량과 알레르기 면역반응과의 상관관계는 얼었으며, 일반침구카바군과 투습방수카바군간의 알레르기 면역반응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혈청내 D.pteronyssinus 특이 IgE, D.farinae 특이 IgE는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량의 증감과 일치하여 변화하는 결과를 보임으로 혈청 특이 IgE는 항원에 폭로된 정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의 총량과 환자의 증상 변화지수 및 폐기능의 변화는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환자의 증상 변화지수와 폐기능의 변화와도 상관관계 또한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침구류에 투습방수 천으로 만든 카바를 사용하는 것은 먼지의 절대량은 줄였지만,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이 8월, 9월, 10월에 일반침구카바군보다도 높은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집먼지 진드기의 성장, 번식에는 먹이의 양보다는 습도, 온도등의 다른 기후조건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비닐이나 나일론에 polyurethane을 도포한 투습방수 천은 더운 계절에 사용시 끈끈한 느낌이 들고 한 곳에 장시간 접촉시 땀 등 수분 증발이 쉽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집먼지 진드기는 적은 양의 먹이만 있어도 온도와 습도의 최적 환경이 제공되면 번식과 성장이 활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 group I 알레르겐 량과 면역반응, 천식중상간의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혈청내 D,pteronyssinus 특이 IgE, D,farinae 특이 IgE의 농도와 Der pI, Der fI 량의 중감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임으로 혈청특이 IgE는 항원에 폭로된 정도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침구류에 투습방수 천이나 비닐로 된 카바를 사용하는 문제는 더 많은 실험 연구 후에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우리나라 주거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겐 량을 감소시킬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영문]

To evaluate the special bedding cover on the allergic immune response and the clinical symptoms in house dust mite-sensitive asthmatics, 1 studied the protective effect of a vapour-permeable waterproof fabric bedding cover. 20 mite-sensitive asthmatics were randomized either to a conventional bedding cover group(n=10) or 1?special bedding cover group(n=10) using a vapour-permeable water proof fabric bedding cover.

The dusts of mattresses, pillows and quilts were sampled by vacuum cleaner from June, 1993 to December, 1993,

Dust samples were coded, weighed and analyzed with blind method. Amounts of Group I major allergens(Der fI, Der pI) of house dust mites in dust samples were measured by ELISA.

Total IgE, skin test specific IgE to 2 house dust mites(D.Pteronyssinus, D.farinae), total eosinophil count in peripheral blood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at the 3months and at the 6months of the study, As71rna symptom, and measured peak expiratory flow rate were evaluated for 7days after dust collection of each month.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peated Measures ANOVA, Pearson Correlation, Wilcoxon rank sums test were done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es.

1. The amount of dust collected was reduced according In the experimental period in both groups. And this is only significant in the special bedding cover group(p<.001).

2. Der pI and Der fI were coexisted in the house dusts, and the mean amounts were 602.6ng of Der pI / gram of dust and 1,384.7ng of Der fI / gram of then

3. The total amounts of group I allergens((Der fI and Der pI), reached their peak in July and October in the conventional bedding cover group (mean ≥ 2 micrograms) and September and October in the speci bedding cover group(mean ≥ 3 micrograms).

The frequency of the dust samples with high concentration of group I allergen (≥2ug/gm of dust)for sensitization was 25.7% in the conventional bedding cover group and 27.1% in the special bedding cover group and the frequency of the dust samples with symptom inducable concentration (≥10ug/gm of dust) was 5.7% in the conventional bedding cover group and 4.3% in the special bedding cover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s and changing patterns of group I allergen of house dust mites between both groups.

5.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group I allergen and allergic immune responses such as skin prick test total IgE and total eosinophil cou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allergic immune responses in both groups.

6.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amounts of group I allergen and the changes in asthmatic symptoms or PEFR. Additionally, there was no correlation in changes between symptom score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scores.

In conclusion, although the use of the vapour-permeable water proof fabric bedding cover reduced the total amount of dust the amount of house dust mite group I allergen has increased in special bedding cover group compared with conventional bedding cover group.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house dust mites is dependent more on the air conditioning such as humidity and temperature than the amount of house dust, Also since the changes in the house dust mite specific IgE showe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house dust mite group I allergen, this result suggests that changes in the amount of specific IgE explain change in mite group I allergen.

Considering all the abov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pecial vapour-permeable water proof fabric bedding cover in mite sensitive asthmatics doesn't much role in protecting house dust mite group Iallergen growth.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1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5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