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957

Cited 0 times in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분비 뇌하수체선종의 In situ hybridization에 의한 분석

Other Titles
 In situ hybridization analysis of human growth hormone and prolactin secreting pituitary adenomas 
Authors
 이은직 
Issue Date
1994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말단비대증환자의 30∼50%에서 고프로락틴혈증이 동반되는데 이들의 원인은 선종세포에서 2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하는 경우와 뇌하수체종양이 뇌하수체경(pituitary stalk)을 압박하여서, 프로락틴분비를 억제하는 시상하부의 도파민(dopamine)을 차단하여 일어나는 고프로락틴 혈증의 경우이다. 수술후 얻은 조직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이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호르몬의생합성에 관한 정보를 밝힘에는 미흡한 면이 있다. In situ hybridization(ISH)은 세포의 형태학적 구조를 유지한 상태에서 어떤 특이한 유전자의 전사활성도글 알게 해주므로 호르몬생합성의 정보를 얻을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분비선종 환자에서 임상증상 및 혈청 호르몬 검사를 시행하여 내분비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수술하여 얻은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하여 선종세포내 함유하고 있는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을 확인하고, 또한 ISH검색을 병용하여 성장호르몬 mRNA 및 프로락틴mRNA를 검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상 32예중 남자 10예(31.2%), 여자 22예(68.8%)이었고, 연령분포는 20세부터 60세까지로 평균연령은 35.6세이었고, 임상 및 내분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프로락틴분비선종(prolactin secreting adenoma)이 13예(40.6%), 성장호르몬분비선종(growth hormone secret

ing adenoma) 8예(25.0%) 및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혼합분비선종(mixed growth hormone and prolactin secreting adenoma)이 11예(34.4%)가 있었다.

2.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선종세포중 10%이상의 세포가 성장호르몬에 염색이 되는 경우는 전예의 성장호르몬분비선종 및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흔합분비선종에서 관찰되었고, 프로락턴 면역조직화학염색 양성은 전예의 프로락틴분비선종과 5예(62.5%)의 성장호르몬분비선종 및 9예(81.8%)의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흔합분비선종에서 관찰되었다.

3. 면역조직화학염색에 의하여 분류한 결과 프로락틴분비세포선종(lactotrope adenoma)이13예(40.6%), 성장호르몬분비세포선종(somatotrope adenoma)이 5예(15.6%) 및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혼합분비세포선종(growth hormone and prolactin cell adenoma)이 14예(43.8% )있었다.

4. In situ hybridization검색 결과 면역세포화학염색으로 확인한 성장호르몬분비세포선종 5예중 성장호르몬mRNA는 전예(100.0%)에서 프로락틴mRNA는 4예(80.0%)에서 검출되었고, 프로락틴분비세포선종 13예중 성장호르몬mRNA는 6예(46.1%)에서 프로락틴mRNA는 전예

(100.0%)에서 검출되었으며,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혼합분비세포선종에서는 성장호르몬mRNA와 프로락틴mRNA가 전예(100.0%)에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부분의 성장호르몬분비선종은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을 동시에 분비할 수 있는 전구세포에서 발생한 선종임을 의미하고, 프로락틴분비세포선종의 대부분은 프로락틴을 분비하게 예정되있는 전구세포에서 기원된 종양으로 생각되며, 면역조

직화학염색으로 검출되지 않지만 ISH검색으로는 호르몬mRNA가 검출되는 경우는 일종의 무증상선종임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ISH검색은 선종세포의 기원과 분화정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며, 따라서 뇌하수체선종을 분류하거나 그 생리를 이해함에 있어서 면역조직화학염색뿐만아니라 ISH검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문]

A non-isotopic in situ hybridization method with biotin-labelled oligonucleotide probes was used to examine growth hormone(GH) and prolactin(PRL) gene expression in 32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13 were prolactinomas, 8 GH secreting adenomas, and 11 mixed GH and PRL secreting adenomas.

Positive immunostaining for GH was found in all patients with GH secreting adenomas, and mixed GH and PRL secreting adenomas. Positive immunostaining for PRL was found in all patients with prolactinomas and 9(81.8%) of 11 mixed GH and PRL secreting adenomas, 5(62.5%) of8 GH secreting adenomas.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that 13 were lactotrope adenomas, 5 somatotrope adenoma, and 14 GH and PRL cell adenomas.

In situ hybridization revealed that 7H myNA expression was found in all the patients with somatotrope adenoma and GH and PRL cell adenomas, and 6(46.1%) of 13 lactotrope adenomas. PRL mRNA expression was 100% in lactotrope and GH and PRL cell adenomas, and 4(80.0% ) of 5 somatotrope adenomas.

The patients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acromegaly had detectable PRL mRNA in their neo-plasm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PRL cells in the adenomas did not result from dedifferentiation, but from the neoplastic stimulus for some mixed tumors probably occurred in cells Previously committed to Produce PRL and GH. In lactotrope adenomas, the PRL cells of thepatients without expression of GH mRNA may be arised from cells programmed to secrete PRL or precussor PRL cells rather than from mixed GH-PRL cells. The finding that some patients produced mRNA detectable by in situ hybridization, but no hormone detectable by immunohistochemistry within tumor was suggested of a silent adenoma.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in situ hybridization studies may improve the classification of pituitary adenomas and may provide a precise knowledge of the biology of these neoplasm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808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Lee, Eun Jig(이은직)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876-8370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4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