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한국인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의 Ha-ras gene의 점돌연변이(point mutation)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오성섭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0T05:44:57Z | - |
dc.date.available | 2015-11-20T05:44:57Z | - |
dc.date.issued | 1994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21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박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인간의 종양을 일으키는 종양유전자는 지금까지 약 24종 알려져 있는데, 이중 ras gene (Ha-ras, Ki-ras, N-ras)이 돌연변이유발(mutagenesis)에 자주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s gene의 돌연변이는 종양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Ha-ras gene의 돌연 변이는 인체의 방광암에서 우세하게 나타나고, Ki-ras gene은 폐암 및 결장암에서, N-ras gene은 혈액성 종양에서 각각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종 및 지역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구강암에서 Ha-ras gene의 돌연변이가 인도인에서는 빈번하게(약 35%) 나타난 반면, 서양인에선 희귀하게(약 3%) 나타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한국인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Ha-ras gene의 점돌연변이가 일어나는 빈도를 알아봄으로써, 종양유전자와 종양의 발생 및 특성들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구강암 환자의 조기진단 및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구강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받은 환자(남 29예, 여10예)의 파라핀 고정 조직절편으로부터 DNA를 추출해서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이용하여 SSCP를 시행한 후 DNA sequencing을 통하여 점돌연변이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 편평세포암종 39예에 대한 SSCP결과 Ha-ras gene의 exon 1은 세가지 유형(A형, B형, C형)의 유전자 이동(band shift)을 나타냈다. 2. Exon 1의 DNA sequencing결과 두가지의 SSCP유형 (A형, B형)을 보인 37예에서는 모두 정상적인 염기 배열을 보임으로써 점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SSCP의 나머지 한 유형(C형)을 보였던 2예에서는 DNA sequencing이 불가능하였으며 이는 DNA template의 순수성의 문제로 사료된다. 4. Ha-ras gene의 exon 2에서는 39예 모두 일정한 형태의 유전자 이동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소견을 종합해 보면, 한국인의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Ha-ras gene의 점돌연변이가 회귀하며 따라서 구강 편평세포암종의 발생과정에서는 인체 다른 부위와는 달리 Ha-ras gene의 연관성은 적은 것으로 유추된다. 향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 종양유전자들과 성장인자 및 화학인자의 상호관계까지를 검색할 수 있다면 구강암의 발생기전, 조기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영문] The possible cause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clude smoking, alcohol, viruses and chemicals. About 24 oncogenes involving the Ha-ras gene are known to be related to human and animal cancer. The ras gene point mutation varies among different tumors; for examples, Ha-ras gene is more frequent in human bladder carcinomas, Ki-ras gene is more frequent in lung and colon carcinomas, and N-ras gene in hematological tumors. The Ha-ras gene point mutation of oral SCC(squamous cell carcinoma) is valiant from the race and geography, it appears to be frequent(about 35% ) in Indian, but appears to be rare(about 3% ) in Wester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ate of Ha-ras gene point mutation of the oral SCC in Korean. DNA extraction, PCR and SSCP, DNA sequencing of Ha-ras gene were done, and the point mutation was searched in the formaline-fixed, paraffin-embeded tissues of the oral SCC from the 39 Korean patients (M:29, F:10).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exon 1 of Ha-ras gene of 39 oral SCC was found in the 3 types(A, B, C types) of band shift in the SSCP. 2. Each SSCP type A & B (37 cases) of exon 1 has a normal DNA sequence, and no point mutation was detected. 3. Confirmation of SSCP type C of exon 1 was not possible presumably because of the artifact associated with DNA template purities. 4. The exon 2 of the Ha-ras gene in 39 oral SCC was found as a regular type of band shift in SSCP universally. From these results, the point mutation of the Ha-ras gene of oral SCC in Korean proved to be rare, and other oncogenes than the Ha-ras gene may be related to carcinogenesis of oral SCC. Verifying the other oncogenes thought to be quite helpful in the treatment, prediagnosis, carcinogenesis of oral cancer.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한국인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의 Ha-ras gene의 점돌연변이(point mutation)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Ha-ras gene point mutation in the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f Korean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075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h, Seong Seob | - |
dc.type.local | Dissertation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