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966

Cited 0 times in

암환자들과 비암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은영-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4:53Z-
dc.date.available2015-11-20T05:44:5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1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Alexithymia란 용어는 1972년에 Siferos에 의해 처음 도입된 용어로서 자신이 경험한 감정이나 느낌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며 끊임없이 신체적인 증상만을 호소하며 공상의 결핍을 보이는 인지-정서장애(cognitive-affective disturbance)를 뜻하는 그리스어 합성 어이다(Nemiah와 Sifneos 1970). Alexithymia의 개념은 처음에는 고전적인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의 임상적 관찰로부터 유래되었다.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서 언어적 상징적 표현에 장애가 있으며 이것이 "정신신체의학에서의 핵심적 문제" 라고 하였다(Ruesch 1948).그 후 많은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 서 정동의 언어화에 현저한 지적 장애가 있으며 그들의 상당 수가 느낌을 표현하고 기술하는데 있어서 현저한 어려움이 있다고 보고되었다(MacLean 1949, Nemiah와 Sifneos 1970). Alexithymia는 아직 질병 단위로 확립된 개념은 아니며 임상가들의 관찰과 경험에 의해 도입된 개념이다. 이것은 이제까지 정신신체장애환자의 정신치료에 있어서 통찰지향의 정신치료에 방해요인이라는 점에서(Krystal 1982) 중요한 이론적 model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지금까지 alexithymia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신체화 및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을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건강한 대조군보다 더많이 alexithlmia를 보여 alexithymia가 신체화의 증상형성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으며(Shipko 1982), 궤양성 대장염환자들이 정신병리와 함께 뚜렷한 alexithymia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Fava와 Pavan 1976). 이에 반하여 염증성 장관질환환자들과 신경증환자 간에 alexithymia를 비교한 연구에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되었으며(Taylor등 1981). 천식환자와 만성폐질환환자 간에는 alexithymia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Kleiger등 1980). 일반적으로 정신신체장애환자들이 alexithymia를 보인다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정신신체장애 중 긴장성 두통과 같은 특정 정신신체장애환자들에서 alexithymia가 현저하다고 보고되었다(고경봉 1993). 이외에 암환자들도 그들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기술되었으며(Kissen 1966, Greer 1975, Shacham 1983, Poteet 1986), 암환자들의 특징적인 성격으로 감정의 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보고된 바 있다(Pertain과 Pierce 1959, Rubin 1984, Kaplan과 Sadock 1988). 이러한 성격특성은 암의 발생이나 불량한 예후와도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ock과 German 1989).Todarello(1989)등은 정상인보다 유방암환자들이 alexithymia가 더 현저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외에는 문헌상 현재까지 암환자에서의 alexithymia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시행된 것이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환자들과 비암환자들 간의 alexithymia를 비교하여 alexithymia가 암환자의 특징적인 양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영문]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ncer and alexithymia.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the degree of alexithymia between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Alexithyinia was assessed by Alexithymia Provoked Response Questionnaire(APRQ) developed as a semi-structured interview form. The non-canc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severity of psychic distress than the cancer patients. The result indicates that cancer patients are more likely to resist accepting their own psychic problems than non-cancer patients. The cancer patients tended to be more alexithymic than the non-cancer patients, although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ncer patients, severity of physical symtoms and of psychic distress did not correlate with degree of alexithymia, respectively. In the non-cancer patients, however, severity of psychic distress tended to correlate negatively with degree of alexithymia. In the cancer patients, psychiatric acceptance did not correlate with alexithymia, but in the non-cancer patients, psychiatric acceptance tended to correlate negatively with alexithymia. In the cancer patients, male tended to be more alexithymic than female, and age tended to correlate positively with the degree of alexithymia. Thus. it is suggested that cancer patients' tendency to be more alexithymic in comparison to non-cancer patients might be related to their resistance against accepting their psychic problems. To further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ncer and alexithymia,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a comparison regarding alexithymia between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on the basis of the same orga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암환자들과 비암환자들 간의 Alexithymia의 비교-
dc.title.alternativeComparison of Alexithymia between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32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Eun Yo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