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정보적 지지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성경-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4:31Z-
dc.date.available2015-11-20T05:44:3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05-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최근 암 환자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과학과 진단방법의 개선으로 말미암아 암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어, 암을 가진채 생명을 연장하는 환자의 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암 환자는 다른 만성질환자들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투병 생활로 인한 불안감과 신체적 불편감 및 무력감을 겪게 된다. 그러나 암 환자의 간호는 암 환자에 대한 이해와 지식부족으로 환자의 신체적 문제만을 해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암 환자 치료의 한 방법인 항암화학요법을 박고 있는 환자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무력감을 완화하여 실제적인 간호중재방안과 암환자의 무력감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로써 연구대항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Y대 부속병원에 등록되어 외래로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암 환자로서, 정보제공을 받은 군 20명과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 19명을 임의 표출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가지고 연구자가 직접 면접을 하는 방법이었으며, 연구도구로는 Miller(1983)가 개발한 무력감 측정 도구를 김조자(1992)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과 항암화학요법에 관한 정보가 수록된 책자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4년 4월 11일부터 5월 26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연구사화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등은 단순빈도를 사용하였으며, 정보제공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확인을 위해서는 x**2 -test 와 t-test를 사용하였다. 정보제공군과 대조군에서의 무력감 변화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선,t-test를 사용하였고, 정보제공을 받은 군에서의 정보 제공 전, 후의 무력감 변화와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사전, 사후 무력감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무력감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t-test 와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보제공을 받은 군에서의 무력감 총점은 31.95, 표준편차 6.23으로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군에서의 무력감 총점 33.47, 표준편차 6.21보다 잣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정보제공을 받은 군이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군보다 무력감 정도가 낫을 것이다."라는 가설 1은 기각되었다.(t=-0.76, p>-0.5) 2) 정보제공을 받은 군에서 정보제공 전 후의 영역별 무력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상활동 참여(t=2.11, p<.005)와 학습참여 영역(t=0.43, p< .05)에서의 정보제공 후 무력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함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정보제공을 받은 구에 있어 정보제공 전보다 정보제공 후의 무력감 정도가 낮을 것이다."의 가설 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3) 정보제공을 받은 군에서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전과 연령과 교육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직업변화, 항암치료횟수, 부담정도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항암화학요법을 믿고 있는 환자들은 주로 자신들의 치료과정 중 발생되는 부작용과 그 대처방언 및 섭생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인한 무력감과 치료과정 중 겪게 되는 무력감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비록 대상자의 수가 적고 정보제공을 박은 군과 정보제공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서의 자료수집이 실험의 확산방지로 인해 시차적으로 이루어져 여러 상황변수에 대한 통제가 완전히 되지는 않아 두 군간의 무력감 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에게 있어 무력감을 낮추는데 정보제공이 필요하며, 이는 더 나아가 학습에 대한 참여동기를 갖게 하여 일상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힘(power)을 생기게 하는데 간호중재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using a method of nonequivalent pre-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o test the effect of informational support and factors influenced on the powerlessness of the patients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 of experimental group and 19 of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s department in the Cancer Center, Yonsi Medical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1, 1994 to May 26, 1994, interview, Miller powerlessness behavioral assessment tool, information for anticancer chemotherapy were used as research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and the test, paired t-test.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experimental group was 31.95 and 33.47 for control group. The frist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ill have a lower mean score of total powerlessness score than that of control group was rejected(t= -.76, p< .05). 2. The score of will b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partially accepted(t= .77, p<0.005). 3.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powerlessness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ge and level of education. 4. The data from the interview indicated that there were great informational demands on nutritional, fear reduction of recurrence and coping methods during the chemotherapy. It is believed that continuous support will effectively decrease powerlessness so that the patients will gain the control of daily activies. The follow-up study with large sample utilizing in-depth interview skills and longitudinal methodological app개ach are recommand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보적 지지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informational support on the powerlessness of patients receiving anticancer chemotherap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0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ong, Sung Kyu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