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2373

Cited 0 times in

위암환자에서 림프절전이양상에 따른 생존율

Other Titles
 (The) long-term survival according to status of nodal metastases in gastric cancer 
Authors
 최승호 
Issue Date
1992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위암에서는 병소의 침윤도, 림프절전이 및 원격전이 여부 등이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며 또한 치료방법, 특히 림프절곽청술에 따라 치료결과가 좌우될 수 있다. 위암치료 성적은 각 나라 마다 차이를 보이고 있어 국내의 자료를 축적하고 이에 바탕을 둔 림프절곽

청술의 확립이 시급하나 국내의 문헌상 그 자료가 층분치 못한 실정이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는 병리학교실과 함께 림프절곽청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기 위하여 일본위암연구회의 림프절분류법에 따른 림프절곽청술과 조직병리학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위암환자에서 치유절제시 림프절곽청의 지침을 마련코자 근치적 절제와 함께 해부학적인 위치에 따른 림프절분류를 시행한 예 중 수술 후 5년이 경과하여 장기생존 여부를 알 수 있었던 환자에서 암병소의 위치, 침윤도 등에 따른 림프절전이양상과 이에

따른 생존을, 특히 림프절전이군의 생존율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제1군에 속하는 림프절전이율은 5.8% - 52.9%였으며 그 중 제3번 및 제4번 림프절이 압의 점거부위애 관계없이 35% 이상의 높은 전이율을 보였다. 제2군에 속하는 림프절전이율은 29,4%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는데, 위암의 점거부위에 관계없이 제7, 제8 및 제9번 림프절의 전이율이 8.8% - 29.4%로 비교적 높았다.

2. 조기위암의 림프절전이율은 11.1%였고, 고유근층암은 55.3%였으며 장막하층 혹은 장막층을 침습한 예는 77.0%, 주위장기를 침습한 예는 100%로 병소의 침윤도가 진행됨에 따라 림프절전이율이 증가하였다(p<0.05).

3. 조기위암의 제1군 림프절 및 재2군 흑은 그 이상 림프절전이율은 각각 3.7%, 7.4%인데 반하여 고유근층암은 각각 23.7%, 31,6%, 장막하층 혹은 장막층까지 침습한 예에서는 각각 31.6%, 45.4%로 병소의 침윤도가 진행됨에 따라 림프절전이범위도 넓었다.(p<0.05),

4. 총 291예 중 수술사망율은 0.7%였으며, 수술사망 2예를 제외한 289예 중 251예에서 수술 후 5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여 추적율은 86.9%였다.

5. 림프절전이예의 5년 생존율은 하부암의 경우 제5, 제6 및 제7번 림프절전이예의 생존율이 각각 42.9%, 45.7%, 41,2%로 비교적 높았고 제1, 제13번 림프절전이예의 5년 생존율은 각각 14.3%, 16.7%로 낮았다. 중부암은 제1군에 속하는 림프절전이예의 생존율이 10

.O% - 29.5%로 하부암에 비하여 낮았고 제2군 혹은 그 이상에 속하는 림프절전이예 중 제2, 제8, 제9, 제10번 림프절전이예의 생존율이 나머지 림프절전이예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다. 상부암과 위전체를 점거한 경우는 예수가 적어 비교하기는 어려우나 중부암과 유사

한 분포를 보였다.

6. 조기위암의 경우 6예(11.1%)에서 림프절전이가 있었는데, 5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5예 증 제3번 림프절에 전이되었던 하부암 1예가 56개월 생존 후 사망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4예는 모두 장기 생존하였다. 고유근층암은 림프절전이가 없는 군, 제1군 림프

절전이군, 제2군 혹은 그 이상의 림프절전이군의 5년 생존율이 각각 65.6%, 66.7%, 55.3%로 림프절전이군에서도 림프절곽청 후 비교적 양호한 생존율을 보였다. 장막하층 혹은 장막층까지 침윤을 보인예에서는 림프절전이가 없는 경우 68.3%, 제1군 림프절 및 제2군 혹은 그 이상 림프절전이가 있는 경우 각각 34.5%, 27.6%의 5년 생존율을 보여 림프절전이가 없는 군과 림프절전이군 사이에 생존율의 차이가 컸다.

이상의 결과로 병소의 침윤도가 진행됨에 따라 림프절전이율 및 전이범위가 증가하며 위암의 근치적 절제술시 림프절곽청범위는 최소한 제2군 림프절 이상이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The long-term survival according to status of nodal metastases in gastric cancer



Seung Ho Choi

Department of Medical Science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Jin Sik Min)



Gastric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he cancer patients in Korea

and lymph node dissec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ter. So

we evaluate the incidence of metastases of respective regional lymph nodes and

analyse the survival benefits in patients with nodal metastases after systematic

lymphadenectomy in order to guide the lymph node dissection in resectable gastric

cancer.

All patients who were performed curative resection before more than five years

with R2 or more extensive Iymphadenectomy were histological status according to

nodal station number.

Of the 291 patients, the mean number of dissected lymph nodes were 37.3(24-92)

and the incidence of nodal metastases was 62.1%(181/291). Operative mortality was

0.7% and follow-up rate was 86.9%.

Tumor deposits were most common in perigastric node st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umor, ranged 5.8% - 52.9%. The incidence of non-perigastric nodal

metastases was 36.8% and among them, N2 group metastases was 79.4%(85/107). Clearly

the deeper the invasion of tumor, the more the incidence and extent of nodal

metastases. The overall five-year survival rate was 51.4% and survival rate of N0,

Nl, N2 or over were 78.6%, 36,8%, 32.7% repectively. In this study, survival

benefits in patients with metastases to nodes along the splenic artery, at the

posterior aspect of the pancreas, along the middle colic artery, and along the

aorta were pooral though nodal metastases over N2 was few.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the incidence and extent of nodal metastases

incresed with deeper invasion of tumor into the gastric wall and R2 or more

extensive lymphadenectomy is adequate for gastric cancer aimed at cure.

[영문]

Gastric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among the cancer patients in Korea and lymph node dissection is very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gastric canter. So we evaluate the incidence of metastases of respective regional lymph nodes and analyse the survival benefits in patients with nodal metastases after systematic lymphadenectomy in order to guide the lymph node dissection in resectable gastric cancer.

All patients who were performed curative resection before more than five years with R2 or more extensive Iymphadenectomy were histological status according to nodal station number.

Of the 291 patients, the mean number of dissected lymph nodes were 37.3(24-92) and the incidence of nodal metastases was 62.1%(181/291). Operative mortality was 0.7% and follow-up rate was 86.9%.

Tumor deposits were most common in perigastric node station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tumor, ranged 5.8% - 52.9%. The incidence of non-perigastric nodal metastases was 36.8% and among them, N2 group metastases was 79.4%(85/107). Clearly the deeper the invasion of tumor, the more the incidence and extent of nodal

metastases. The overall five-year survival rate was 51.4% and survival rate of N0, Nl, N2 or over were 78.6%, 36,8%, 32.7% repectively. In this study, survival benefits in patients with metastases to nodes along the splenic artery, at the posterior aspect of the pancreas, along the middle colic artery, and along the aorta were pooral though nodal metastases over N2 was few.

As a result, we conclude that the incidence and extent of nodal metastases incresed with deeper invasion of tumor into the gastric wall and R2 or more extensive lymphadenectomy is adequate for gastric cancer aimed at cur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575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oi, Seung Ho(최승호)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9872-3594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19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