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423

Cited 0 times in

비강기류 차단시와 복원시 후각상피의 변화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Other Titles
 Morphological study of the olfactory epithelium after deprivation and restoration of the air current 
Authors
 정승규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여러 원인으로 비강기류가 차단될 때 후각상피의 형태학적 변화가 온다는 것은 Fruhwald(1935)와 이정권(1988)에 의해 밝혀졌으나 광학현미경 소견상 차이가 있으며 비강기류를 복원시킨 경우 이러한 변화의 회복에 관한 실험적 연구는 없다.

이에 저자는 비강기류 차단시 후각상피의 변화를 관찰하고, 비강기류를 복원시켰을 경우 후각상피의 회복정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실험동물로는 체중 1.0∼1.5kg인 건강한 한국산 가토 34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제 1군은 비강기류를 차단하고 1주, 2주, 4주, 8주, 그리고 12주 경과군이며 제 2군은 1군과 마찬가지로 비강기류 차단 1주, 2주, 4주, 8주, 12주 후에 폐쇄시킨 비강을 개방하여 6주간 비강기류를 복원시킨 군으로 각각 15마리씩 배정하였다. 3군은 대조군으로 4마리를 사용하였다.

비강폐쇄의 방법은 가토를 전신마취(Secobarbital, 20∼30mg/kg, 정맥주사) 시킨 후 5번 명주(silk)봉합사로 우측 비전정(nasal vestibule)을 봉합하여 완전히 폐쇄하였으며 계획된 시기에 이 봉합사를 발사하여 비강기류를 복원시켰다.

조직학적 관찰을 위하여 실험동물을 마취상태에서 2.5% glutaraldehyde로 고정 후 비중격부위에서 후각상피를 채취하였다. 광학현미경 검사를 위하여 조직을 epon에 포매하여 1μm 절편을 만들었으며 투시 전자현미경 검사를 위하여 40∼60nm의 절편을 만들어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임계점 건조후 금도금하여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1) 비강기류 차단 1주 후에 후세포가 감소되어 있었으며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후섬모 mat가 소실되어 있었고 후소포의 표면이 심하게 위축되어 있었으며 후각상피의 표면은 주로 지지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2주후부터는 후소포의 재생이 관찰되었으며 후섬모

mat의 재생도 관찰할 수 있었다. 4주 후부터 광학현미경 관찰상 후세포층은 정상과 유사한 소견을 보이나 후각상피의 표면구조인 후소포가 완전하게 재생되지 않고 위축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에 비하여 후섬모의 수가 감소되어 있었고 형성된 후섬모

mat도 매우 소밀하였다.

2) 비강기류 차단 후 복원군에서는 후세표의 수가 폐쇄군보다 증가되어 있었고 정상적인 후소포와 위축된 후소포등 다양한 소견을 보였으며 정상에 유사한 후섬모 mat가 관찰되었다.

상기한 결과를 종합하면 비강기류 차단 후 1주일에 후각상피의 퇴화가 절정에 달했으며 그후 후세표는 재생이되나 비강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극히 일부에 국한되어 있었다. 그러나 비강기류 복원군에서는 다양한 후세포가 관찰되며 또한 후섬모 mat가 정상에 가까운 곳이 많이 관찰되므로 비강기류의 차단과 복원이 후각상피의 퇴화와 재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The morphologic changes of olfactory epithelium in the absence and the presence following absence of air flow for various time periods were observed to clarify the role of the air flow in maintaining the normal function of the tissue. Although the importance of the air flow in maintaining normal morphology of the olfactory epithelium had been reported by Fruward(1935) and Lee(1988), these results are not conclusive by demonstrating different degree in the extent of the changes by study methods.

Thirty-four Korean rabbits, weighing 1-1.5kg, were used. The animals were grouped into 2, one for the blocking and the other for the blocking and unclosing of air flow. For the blocking of air flow, one of the anterior nares was sutured to block the air and left for 1, 2, 4, 8 and 12 weeks. For animals in the other group, the anterior nares obstructed for the experimental periods was opened by removing the sutures, and left for an additional 6 weeks. The animal were then anesthetized and perfused intracardially with 2.5% glutaralehyde fixative. The olfactory epithelium was obtained from the septal area. Changes in surface and intracellular structures were examined by use of a scanning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olfactory epithelium at the olfactory cell layer were obvious at the first week in the absence of the air flow. The surface areas appeared to be mainely composed of supporting cells, which suggested that almost all of the olfactory mat and vesicles had been disappeared, if any, they were cells with shrunken vesicles, leaving the supporting cells only. At two weeks in the absence of the air flow, gradual regeneration of olfactory cells was suggested by noting the reappearance of olfactory cilia. However, the most part of the surface was remained as area composed of supporting cells without noticeable olfactory vesicles. Thereafter the number of olfactorty cells and the olfactory cilia as well as the length of the cilia were found to be increased to some extent though it was

still subnormal. The observed olfactory vesicles were not matured type.

When the air flow was reestablished, normal olfactory epithelium was noted among the shrunken olfactory vesicles, regardless of the period of obstruction.

These all together suggested that the absence of the air flow affected the layer of the olfactory cells to be decreased. Although regeneration of the olfactory cell was observed, the maturation of olfactory vesicles was not complete. The restoration of the air flow induced some of olfactory vesicles appeared to be complete. Thus the presence of the air current, if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represen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might be one of important factors in maintaing the olfactory cells in normal statu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45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94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