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56

Cited 0 times in

고콜레스테롤식 및 Ursodeoxycholic acid 투여로 인한 혈청 및 담즙 콜레스테롤 농도변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dietary cholesterol and ursodeoxycholic acid treatment on serum and bile cholesterol levels 
Authors
 정구용 
Issue Date
198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담석의 형성기전 및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많은 논란이 있으며, 그중 특히 유전적, 식이적 요인에 대한 생체 또는 동물실험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콜레스테롤 담석이 많은 구미에서는 담석형성에 미치는 고콜레스테롤식이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실시되었으며 고콜레스테롤식이가 담즙내 콜레스테롤 분비의 증가를 유발하는 것이 이상 담즙 형성의 한 원인이 된다고 하였다. Chenodeoxycholic acid 및 ursodeoxycholic acid는 담즙내 콜레스테롤 생성을 감소시켜 담석 형성을 억제한다고 하였고 이를 이용한 임상연구에서도 담석의 용해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 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담석증 환자에 있어서 고콜레스테롤식이 및 ursodeoxycholic acid가 담즙내 롤레스테롤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담석증 수술을 받은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저콜레스테롤식이(400mg/일), 고콜레스테롤식이(1000mg/일), 고콜레스테롤식이 및 ursodeoxycholic acid투여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환자에서 각각 혈청 및 담즙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담석증 환자의 수술전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간 담도계 질환이 없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2. 수술 전후에 따르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의 변동은 볼 수 없었다.

3. 저콜레스테롤식이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고 고콜레스테롤식이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

4. 고콜스테롤식이를 주면서 ursodeoxycholic acid를 투여한 환자의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콜레스테롤 단독 투여군의 농도보다 낮은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5. 고콜레스테롤식이는 담즙 콜레스테롤을 의의있게 증가시켰으나 고콜레스테롤식이를 주면서 ursodeoxycholic acid를 투여한 환자에서는 담즙 콜레스테롤 분비 증가가 미약하였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혈청 및 담즙 콜레스테롤 농도는 음식내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ursodeoxycholic acid는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담즙내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출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There is some debate on the pathogenesis of gall stone formation and numerous factors, especially genetic and dietary factors, were reported as a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gall stone. In order to define the possibility of abnormal lithogenic bile formation by high cholesterol diet in patients with gall stone and the effect of ursodeoxycholic acid on the biliary cholesterol secretion, the serum and bile cholesterol levles were measured in 21 patients with gall stone under the challenge of high cholesterol diet and ursodeoxycholic aci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between gall stone patients and control.

2. Th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little changed after operation.

3. Th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were tended to be increased by high cholesterol diet and to be decreased by low cholesterol diet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m.

4. The ursodeoxycholic acid (UDCA) treatment tended to decrease th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high cholesterol diet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5.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bile was significantly elevated after high cholesterol diet, and this elevation was not significant by concomitant treatment of ursodeoxycholic acid (UDCA).

By thes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serum and bile are influenced by dietary cholesterol, and ursodeoxycholic acid could well affect the high cholesterol diet induced elevation of biliary cholesterol.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8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