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748

Cited 0 times in

다형성 선종의 조직학적 양상에 따른 증식세포핵항원 표지지수의 변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용찬-
dc.date.accessioned2015-11-20T05:25:29Z-
dc.date.available2015-11-20T05:25:2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873-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타액선 종양의 40-70%를 차지하는 다형성 선종은 점액연골양 조직, 초자양 변성, 편평상피 화생 등 다양한 조직학적 특징을 보인다. 특히 국소적 침윤성 성장, 부분적 괴사, 핵의 다형성과 과염색성, 혈관 침식 등 성장하는 양상이 다양하나 이에 따른 예후의 차이나 임상적 의의가 명확히 밝혀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성 및 악성 다형성 선종에서 증식세포핵항원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이하 PCNA로 약함) 표지지수에 따라 종양세포의 증식능력을 비교하고, 특히 양성의 다형성 선종에서 피막 침범, 괴사, 초자양 변성, 다형성과 과염색성, 혈관 침식 등의 소견에 대한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시행하였다. 1985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자 연세의료원에서 다형성 선종으로 진단된 173예와 악성 혼합종으로 진단된 7예를 대상으로 조직학적 관찰 및 증식세포핵항원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성 다형성 선종 173예 중 편평상피 화생이 관찰된 예는 36.4%이었고 점액연골양조직이 우월한 경우가 28.3%였으며, 피막 침범 또는 혈관 침식이 관찰된 예는 각각 59.0% 및 63.0%이었다. 2. 양성 다형성 선종에서 PCNA 표지지수는 조직학적 소견과 무관하였으나 괴사 또는 다형성이 관찰되는 예에서는 양성 다형성 선종의 평균 PCNA 표지지수 보다 높았다. 3. 재발된 23예에서는 피막 침범, 혈관 침식의 소견이 69.6% 및 65.2%로 자주 동반되었으며 다발성 증식도 47.8%에 달하였다. PCNA 표지지수는 재발하지 않은 예와 비교하여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p> 0.05). 4. 악성 혼합종의 PCNA 표지지수의 양성 다형성 선종에 비해 4배 이상 높았으며 특히 암육종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양성 다형성 선종에서는 조직학적 양상에 따른 PCNA 표지지수의 차이는 없었으나 괴사된 조직과 핵의 다형성을 보이는 경우에는 PCNA 표지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악성 혼합종에서는 양성 다형성 선종에 비해 4배 이상 높은 PCNA 표 지지수를 보여 세포증식능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이 양성과 악성 혼합종을 감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영문] The pleomorphic adenoma, the most common tumor of the salivary gland, is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histologic findings, such as myxochondroid area, stromal hyalinization, and squamous metaplasia. In particular, the infiltrative growth, the nuclear pleomorphism, vascular encroachment and focal necrosis are not infrequently found in benign pleomorphic adenoma. But the biologic behavior of these findings has to be elucidated.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 prognosis of pleomorphic adenoma on the basis of the variable histologic findings, proliferating activity was analysed by use of immunohistochemical study for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One hundred seventy three cases of benign pleomorphic adenomas and 7 cases of malignant mixed tumors were examined by clin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The anti-PCNA antibody (PC 10, DAKO) was applied. Results were as follow ; 1. Thirty six percents of benign pleomorphic adenomas showed squamous metaplasia, and the predominent myxochondroid area was seen in 28.3% of the cases. The area of capsular invasion and vascular encroachment were shown in 59.0% and 63.0%, respectively. 2. Cases with the area of focal necrosis and/or nuclear pleomorphism revealed high PCNA indices. 3. The multinodular growth was the most common finding in recurrent cases, however, the difference of PCNA reactivity between recurrent cases and non-recurrent cases was not found. 4. Malignant mixed tumors showed the highest PCNA index particularly in carcinosarcoma. In conclusion, immunohistochemical stain using PCNA could be a useful tool to distinguish the benign from malignant mixed tumors. Although the cases showing nuclear pleomorphism and/or focal necrosis revealed high PCNA reactivit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clinical significance coupled with long term clinical follow-up.-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다형성 선종의 조직학적 양상에 따른 증식세포핵항원 표지지수의 변화-
dc.title.alternative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plemorphic adenomas on the basis of histologic finding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7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 Yong Ch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