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912

Cited 0 times in

시신경 유두와 망막혈관과의 관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혜란-
dc.date.accessioned2015-11-20T05:24:52Z-
dc.date.available2015-11-20T05:24:52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84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안저검사는 안과에서 매우 중요한 검사중의 하나로, 눈의 질환뿐아니라 전신질환의 진단과 경과의 판정에도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정상인의 안저소견은 개인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므로, 안저의 병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안저의 정상 상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1851년 Helmholtz에 의해 검안경이 처음 발명된 이래 많은 안저검사 방법들이 발명되었으며, 안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행해졌다. 정상인의 시신경유두와 망막혈관에 관해서도 여러가지 연구가 있었으며, 1948년 Wood는 정상인의 시신경유두를 망막중심동맥분지의 분포에 따라 분류했고, 정 등(1975)과 정 등(1976)도 망막혈관에 관한 연구 제1보 및 제2보를 발표했다. 또한 Ford와 Sarwar(1963), Snydacker(1964), 그리고 김 등(1976)은 정상유두에 대히 보고했으며, 1967년 Armaly에 의해 수평 C/D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이와 박(1971), 김과 윤(1981), Carpel과 Engstrom(1981)등에 의해 정상인의 C/D비에 대한 연구가 행해졌다. 1. 시신경유두의 형태 1) 시신경유두의 형태를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관찰한 결과 원형이 353안(44.13%) 이었으며 수직타원형이 318안 (39.75%) 이었고, 이 두가지 형이 전체의 83.88%를 차지했다. 2) 시신경유두 형태의 양안 비교에서는 같은 군에 속하는 경우가 289명 (72.25%)으로 더 많았다. 2. 시신경유두부에서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 1) 시신경유두부를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에 따라 10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관찰한 결과 대칭인 제9군이 425안 (53.13%)으로 가장 많았으며, 망막중심동맥의 주분지 중 하나는 반드시 비측을 지나고 있었다. 2) 시신경유두부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양안 비교에서는 같은 군에 속하는 경우가 215명(53.75%)으로 조금 더 많았다. 3. 시신경유두부에서 망막중심동맥이 기시하는 위치 1) 시신경유두부에서 망막중심동맥이 기시하는 위치를 7개의 군으로 나누어 관찰한 결과 비측중앙부에서 기시하는 것으로 411안 (51.38%)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중심부에서 기시하는 것으로 326안 (40.75%)이었으며, 이측에서 기시하는 경우는 없었다. 2) 기시부의 양안 비교에서는 같은 군에 속하는 경유가 284안 (71.00%)으로 더 많았다. 4. 시신경유두의 생리적함몰 1) 시신경유두를 생리적함몰의 형태에 따라 3개의 형으로 구분하여 관찰한 결과, C/D비가 0.3 이하의 소형 함몰이고 유두중앙부에 위치하는 A형이 634안 (79.25%)으로 월등히 많았다. 2) 양안 비교에서는 같은 형에 속하는 경우가 365명 (91.25%)으로 훨씬 더 많았으며, 양안 C/D비의 차이는 99.75%에서 0.2 이하였다. 5. 시신경유두의 형태와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와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없었다. 6. 시신경유두부에서 망막중심동맥 기시부와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와의 관계를 관찰한 결과, 망막중심동맥이 비측중앙부에서 기시할 때 보다 비하측에서 기시할 때 망막중심동맥 분지 분포의 비측 및 이하측 (제6군)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더 많았다. 7. 시신경유두의 생리적함몰과 망막중심동맥 분지의 분포와의 관계를 관찰한 결과, C/D비가 0.4 이상의 중형 내지 대형의 생리적함몰이고 중앙부 또는 약간 이측에 위치한 B형의 시신경유두를 가지는 경우에서 보다, A형의 시신경유두를 가지는 경우에서 망막중심동맥 분지 분포의 비측(제1군)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더 많았다. [영문] Since Helmholtz discovered the ophthalmoscope in 1851, normal fundus has been possible to be observed. The findings of the optic disk and retinal vessels in the fundus are of great importance in the evaluation of intraocular diseases and systemic diseases (especially intracranial problems). The shape of the optic disk and retinal vessels have been described by many investigators. Direct ophthalmoscopy was performed on 800 normal eyes (400 persons) to evaluate following aspects; (1) The shape of the optic disk (2) The distribution of the central retinal artery (3) The origin of the C.R.A. from the disk (4) The number of disk in accordance with three different shape of physiological cups (5) The relationship between (1) and (2) (6) The relationship between (2) and (3) (7) The relationship between (2) and (4)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haps of the optic disk 1) The 353 eyes (44.13%) were round, and the 318 eyes (39.75%), vertically oval. 2) In the 289 persons (72.25%) the shape of the optic disk were same in both eyes. 2. The classification of the optic disk based on branching of the C.R.A. 1) The 425 eyes (53.13%) had symmetric distribution, and the 285 eyes (35.63%) had nasal-temporal up distribution. And at least one of the main branches of the C.R.A. passed by nasal side of the optic disk in every eye. 2) In the 215 persons (53.75%), the distribution of the C.R.A. were same in both eyes. 3. The origin of the C.R.A. in the optic disk 1) The 411 eyes (51.38%) had their origin in the nasal center, and the 326 eyes (40.75%) in the center. And none of the eyes had their origin in temporal side. 2) In the 284 persons (71.00%) the origin of the C.R.A. were same in both eyes. 4. The physiological cupping of the optic disk 1) Most of the eyes (634 eyes; 79.25%) had the optic disk of type A (C/D ratio ≤ 0.3 and located in the center). 2) The 365 persons (91.25%) had same disk in their both eyes. And the difference of C/D ratio between both eyes was less than 0.2 in 99.75%.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of the optic disk and the distribution of the branches of the C.R.A.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6. The nasal-temporal down distribution (Class 6) of the C.R.A. appeared more when the C.R.A. originated from the nasal down than when it originated form the nasal center. 7. The nasal distribution (Class 1) of the C.R.A. appeared mor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시신경 유두와 망막혈관과의 관계-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the optic disk retinal vessel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04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Hae Ra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