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477

Cited 0 times in

두개강내 농양의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재훈-
dc.date.accessioned2015-11-20T05:24:29Z-
dc.date.available2015-11-20T05:24:29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83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1970년 12월부터 1981년 8월까지의 최근 10년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에 입원하여 수술적으로 확진된 65예의 두개강내 농양중 병상일지의 추적이 가능했던 57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57명의 환자 중 남자가 45명, 여자가 12명으로 남녀의 비율은 3.75:1이었으며 20세 이전이 31명으로 전체의 54.4%를 차지하고 있었다. 2. 감염의 원발병소를 알 수 있었던 경우가 45명으로 79%를 차지하였으며 그중 중이염등의 귀의 감염이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외상에 의한 경우로 13명이었다. 3. 원인균이 검출되지 않았던 예가 21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인균으로는 포도상 구균과 연쇄상 구균이 각각 13예와 12예로 가장 많았다. 4. 가장 많은 증상으로는 두통, 발열등이 있다가 의식장애, 국소적 신경장애가 나타나는 경우였다. 5. 뇌전산화 단층촬영술은 두개강내 농양의 진단 방법중 가장 정확하고 빠르며 쉽게 반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되었고 수술 후의 추적조사에도 가장 유용한 방법이었다. 또한 거의 대부분의 경우 환형 대조강화로써 진단을 내릴 수 있으며 환형이 얇고 규칙적인 것이 88%였다. 또한 환형 대조강화의 크기는 최대 직경이 5cm이상이 32%, 3-5cm이 40%, 3cm이하가 28%였다. 6. 뇌농양의 수술법으로는 흡인법이나 배농법을 1차로 실시한 후 2차로 절제법을 시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으로 생각되었으며 심부에 위치한 뇌농양이나 경막상 혹은 경막하 농양은 배농법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영문] Sixty five intracranial abscesses were experienced from December, 1970 to August, 1981, of which fifty seven cases were operated. The clinical analysis and surgical experienc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atients consisted of 45 male and 12 female and 31 patients(54.4%) were under 20 years of age. 2. Of the 57 patients, 45 patients(79%) had a demonstrable infectious source leading to the intracranial infection. There were 15 patients with ear infection and 13 patients with trauma. 3. Staphylococcus and streptococcus were the most common pat;hogens in this study. 4. Common symptoms of the patients were headache and fever which were followed by mental disturbance and focal neurological disturbance. 5. Brain C.T. scan offered accurate, non-invasive, rapid and easily repeatable means of diagnosis and following of lesions. After contrast infusion, ring enhancement had mostly thin and regular wall(88%). 6. The best operative methods of the brain abscess were aspiration and resection or drainage and resection. The deep seated brain abscess, subdural abscess and epidural abscess could be treated with only drainage metho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두개강내 농양의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Clinical observation of the intracranial abscesse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94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Jae H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