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788

Cited 0 times in

인두편도 증식으로 인한 비호흡장애가 치조안면 형태에 미치는 영향과 인두편도 절제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경-
dc.date.accessioned2015-11-20T05:22:12Z-
dc.date.available2015-11-20T05:22:1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749-
dc.description치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비호흡의 기능감소는 구호흡을 동반시키며 이러한 호흡양상의 변화는 두부·하악골 및 혀의 위치를 변화시키므로 치열을 둘러싸고 있는 연조직간에 유지되던 힘의 평형이 파괴됨으로 부정교합을 야기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저자는 인두편도 중식으로 인한 비호흡장애가 안면골격, 혀 및 치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비인두폐쇄 아동 56명과 연령분포가 비슷한 정상아동 50명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모형을 계측해서 두 groups간의 계측치를 비교 검토하고 아울러 인두편도 절 제술을 시행하고 1년후에 30명을 내원시켜 수술 1년후의 변화량과 정상아동 30명의 1년 성장량을 비교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하악골의 수직성장경향이 나타났으며 전안면 고경의 증가와 후안면고경의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기도면적이 작게 나타났으며, 혀 및 설골의 위치가 낮게 나타났다. 상하악 중절치의 경사도는 두 groups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군에서 상악대구치간 폭경 및 상하악소구치간 폭경의 감소와 구치부 교차교합의 경향이 나타났다. 2. 각 계측항목군의 상관관계를 보면 하악골의 수직성장경향이 클수록 상악치열궁 폭경의 감소와 전안면고경 및 구개고경의 증가경향을 보였다. 안면고경이 길고 기도면적이 작을 수록 혀가 낮게 위치하고, 혀의 위치가 낮아지면 상악치열궁폭경이 감소하며 구치부 교차교합의 발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대조군의 1년 성장량과 실험군의 수술 1년후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하악골의 수직성장경향이 감소했으며, 전안면 고경의 감소와 후안면 고경의 증가가 나타났다. 대조군에서의 1년 변화량에 비해 실험군에서 수술 1년후에 기도의 면적이 증가했으며 혀의 위치가 높아졌고 상하악 중절치의 경사도가 증가했으며 상악치열궁폭경 및 overbite의 증가와 구개고경의 감소가 나타났다. [영문]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iculty in nasal breathing due to hypertrophic adenoid vegetation on craniofacial skeleton, tongue and dentition by using the cephalometric and cast analysis. Two groups of the subjects were chosen for the purpose :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50 children having problems with nasal breathing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50 children of similar ages with normal occlusion and no nasal obatructive symptoms, The study also surveyed the effect of adenoidectomy by comparing the one year difference between pre- and past operative findings with normal growth findings in each 30 subjects randomly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e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vertical growth pattern of madible, increase in the anterior facial height and decrease in the posterior facial height, smaller sagittal depth of the airway, lower tongue position and lower hyoid bon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ts in the axi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to show decrease in the width of upper arch and increase in the rate of cross-bite manifestation. 2.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d that vertical growth pattern of mandible wart in the inverse ratio to the width of upper arch, but in proportionate with anterior facial height and palatal vault.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longer the facial height is and the narrower the airway width is, the lower the tongue position becomes, which tends to cause the contraction of upper arch and cross-bite. 3. The comparison between the one year growth difference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one year difference of pre- and poet adenoidectomy subjects showed decrease in vertical growth pattern of mandibl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latter group wart also observed to show decrease in the anterior facial height, and increase in the posterior facial height, in the sagittal depth of the airway, in the width of upper arch and in overbite, along with lavioversion of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and normalization of the tongue posi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인두편도 증식으로 인한 비호흡장애가 치조안면 형태에 미치는 영향과 인두편도 절제에 따른 효과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influence of difficulties in nasal breathing and the effect of adenoidectomy on the dentofacial morphology-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7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ee Kyung-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