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23

Cited 0 times in

고압증기소독한 성견 자가하악골 재이식후의 치유과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정구-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9:06Z-
dc.date.available2015-11-20T05:19:06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629-
dc.description치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골 절제술시 적출된 자가골을 즉시 열처치(자불 흑은 고압증기소독), 냉동 또는 방사선 조사하여 이식물로 재이용하면 이식재를 얻기위한 부가적인 수술이나 재료선택의 번거로움을 피할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부에 대한 적합성, 술식의 용이도 및 술후 심미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리라는 추론하에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이중 열처치시에는 골내 단백성분의 변성에 의한 골형성능 상실로 인해 비유합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동종골 기질(allogeneic bone matrix), 해면골등의 부가적 사용이나 강성고정(rigrid fixation)등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가 장골에서 있어왔다. 그러나 하악골은 해부학적으로 피개 연조직이 얇아 단순하여 감염의 가능성이 높고 장기간의 고정이 어려우며, 또한 이에 대한 연구도 드물어, 이에 저자는 하악골을 고압증기소독한 후 즉시 강성고정술로 재이식하고 이의 치유과정을 신선한 자가골을 재이식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실험동물은 영구치로의 교환이 끝난 성견 12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구강내로의 천공을 방지하고자 실험 1개월전 하악 좌우측 소구치, 대구치를 모두 발거하였다. 실험은 구외로 골막을 박리하고 하악골을 약 3cm가량 적출한 후 좌측은 대조측으로 하여 생리식염수에 10분간 담갔으며. 우측은 실험측으로 하여 고압증기소독한 후 모두 제위치에 강성고정술로 즉시 재이식하였다. 치유의 관찰은 방사선동위원소 골주사와 oxy-tetracycline, alizarin red-S, calcein등의 다색형광표지법을 이용한 형광 현미경 관찰을 시행하였다. 관찰기간중 12마리 실험동물중에서 7마리는 구강내 천공으로 인한 이식골 노출과 이에 따른 골괴사로 실험결과에서 제외하였다. 육안소견에서 모든 이식골들은 골막에 의해 형성된 많은 신생골로 피개되어 있었으며 실험측보다는 대조측에, 협측보다는 설측에 더욱 많았고 이식골의 동요 없이 잘 고정된 양상을 보였다. 방사선소견에서는 전 실험기간동안 실험측 이식골의 방사선 불투과도가 대조측에 비하여 적었으며, 골절단부의 골성유합은 대조측에서는 8주표본에서, 실험측에서는 12주 표본에서 보였다. 방사선동위원소 골주사 소견에서 전 실험기간동안 실험측은 대조측에 비해 방사선 동위원소 흡수가 적었고, 대조측은 4주군에서 최고의 흡수량을 보이다가 이후 감소하여 16주군에는 정상측와 비슷한 흡수량을 나타내었으나, 실험측에서는 8주군에 최고치를 보인 후, 16주군에서는 정상측보다 적었다. 광학현미경 소견에서 골절단부의 치유는 대조측, 실험측 공히 이식초기에는 주로 골막에서 골양조직이 골절단부로 침투하며 유합을 이루는 양상을 보였고 전 실험기간동안 실험측의 골절단부는 대조측에 비하여 골형성이 불규칙하고 지연되는 소견을 보였다. 형광현미경 소견에서 전 실험 기간동안 실험측 골절단부는 대조측보다 골개조가 늦었고 골절단부의 골형성 양상은 대조측에서는 이식골과 숙주골 양측에서의 골형성을 보이는 반면, 실험측에서는 숙주골에서만이 골절단부로 골을 형성하며 이식골내로 침투해 들어가 는 소견을 보였다. 이식골은 대조측에서는 주군부터 골절단부와 이식골 내막 부위에서부터 형광대가 관찰되었으나, 실험측에서는 12주군 이후부터 이식골내에 불규칙한 극소수의 형광대의 출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하악골에서 고압증기소독한 자가골의 이식은, 구강점막의 천공에 의한 감염이 많아 혈류가 충분한 연조직의 피개가 요하고 이식골의 유합에 골막의 역할이 중요하였다. 또한 강성고정술은 해면골이나 동종골 기질의 부가적인 이용이 없이도 골막에서의 부가적 골성장과 숙주골에서 이식골로의 잠행성 대체(creeping substitution)를 위한 기계적 지지로 골절단부의 골성 결합을, 특히 고압증기소독골내의 골개조 현상를 보여 장기간의 관찰이 요하나 즉시재건에 이용할수 있는 재료로 평가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healing process of the autoclaved autogenous mandibles which were immediately re-implanted with rigid fixation,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graft of the fresh autogenous mandibles. 12 adult dog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al animals, and the mandible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side on the left, and the experimental side on the right. Partial mandibulectomies were done on both sides via extraoral approach, and the resected blocks of the mandible on the experimental side were re-implanted with rigid fixation in their original beds after autoclaving, and the contol side were also grafted after soaking in normal saline solution. (99m)**Tc-MDP radio-isotope bone scanning and tripple fluorescent labeling with oxytertracyline, alizarin, and calcein were done for the observation of the healing processes. Animals were sacrificed at 2,4,8,12,16 weeks of postoperative periods, and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graft incorporation (gross, radiograph, histology, and histomorphometry) and bone graft metabolic activities(scintigraph). During the experiment,7 dogs were excluded because of oral mucosal perforation and subsequent wound inf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On gross examination of the 5 healthy experimental animals, much new bone was developing the both control and the experimantal sides of the mandibles. It was much more on lingual side than on buccal side, and on the control side than the experimental side. No graft mobilities were noted after 4 weeks. 2. Radiographically, radio-opacity of the control sides were more noticeable than the experimental side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s. The radio-opacity of the osteotomy site was observed in 12 weeks on the experimental side while in 8 weeks on the control side. During all the experimental periods. 3. On the scintigraphy, the radio-isotope uptake of the experimental sides were less than the control sides throughout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s. The highest amount of uptake on the control sides was highest at 4 weeks after grafting and returned nearly to the noraml level at 16 weeks, while on the experimental sides was at 8 weeks and was less than the normal side at 16 weeks (79%). 4. On the Light microscopy, the initial period of healing was dominant by the ingrowth of bone from the adjacent periosteum to the osteotomy sites on both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al sides, and the graft incorporation on the experimental sides were more delayed than the control sides. 5. On the fluorescent microscopy, the remodelling on the osteotomy site was delayed on the experimental sides when w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ones. One-sided bone growth from the osteotomy site on the implanted bone were noted on the experimental sides in contrast to the bone growth both from the host and the grafted bone to the osteotomy sites of the control sides. At 12 weeks, there were scattered and irregular fluorescent lines on the experimental sid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use of the well vascularized thick soft tissues to prevent the oral mucosal perforation when using the autoclaved mandible. Although the autoclaved bone is not the ideal bone graft material because it showed delayed remodelling, the bony union was accomplished with the rigid fixation by the host without the addition of cancellous bone or allogeneic bone matrix, and so, it is supposed that the autoclaved mandible could be used as one of the immediate replacement materials for the mandibular defec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고압증기소독한 성견 자가하악골 재이식후의 치유과정-
dc.title.alternativeHealing process of the reimplanted autoclaved autogenous mandible in adult dog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22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eong Gu-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