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837

Cited 0 times in

정상 임산부에 있어서 신생아 생리적 황달발생과 모체 혈청 및 양수내 AFP치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위현-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8:04Z-
dc.date.available2015-11-20T05:18:04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590-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Brock과 Sutcliffe(1972), Allan등(1973)이 태아의 중추신경계 기형 진단에 양수내 Alpha-Fetoprotein(AFP)이 상당히 유용하다고 보고한 이후 산과영역의 산전 태아상태 감시 및 태아기형의 진단에 AFP를 이용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FP은 태아의 간에서 생성되며, 임신 중반기에는 생성이 활발하지만 임신후반기로 갈수록 생성량이 감소하고 출생후에는 생성이 중단되어 태아 간(liver)의 성장 발육과는 반대의 현상을 보인다. 저자는 태의 간성숙과 AFP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해보고자 임신말기의 정상 임산부 혈청 및 양수내 AFP치와 간의 미성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신생아 생리적 황달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1979년 7월부터 1980년 9월까지 연세대 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하여 내원한 임신말기(37∼42주)의 정상 임산부 67명에서 혈청 및 야수를 채취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AFP치를 측정하였다. 이들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를 생리적 황달이 발생한 군과 생리적 황달이 발생하지 않았던 정상군으로 구분하여, 임산부의 혈청 및 양수내 AFP치를 여러 가지 산과적 항목으로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신생아 생리적 황당은 총 67예중 13예(19.4%)에서 발생하였다. 2. 정상군 및 생리적 황달군에서 임산부 혈청 및 양수내 AFP치는 임신 37주에서 42주로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AFP치와 임신주수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P〈0.05), 이에 대한 관계식은 아래와 같다. 가. 임산부 혈청내 AFP치와 임신주수와의 관계 a. 정상군: Y=733.24-15.21 X (R=-0.5051, t=4.220, d.f.=52, P〈0.05) b. 생리적 황달군: Y=1,035.72-20.57X(R=-0.5703, t=2.303, d.f.=11, P〈0.05). 나. 양수내 AFP치와 임신주수와의 관계 a. 정상군: Y=1,095.23-21.36X(R=-0.6310, t=5.865, d.f.=52, P〈0.05) b. 생리적 황달군: Y=1,044.13-17.28X (R=-0.7632, t=2.483, d.f.=11, P〈0.05). (Y=AFP치, X=임신주수) 3. 임산부 혈청 및 양수내 AFP치가 생리적 황달군에서 정상군보다 의의있게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P〈0.01), 각 군별 AFP의 평균치는 아래와 같다. 가. 임산부 혈청내 AFP의 평균치 a. 정상군: 128.61±41.51ng/㎖ b. 생리적 황달군: 230.15±48.51ng/㎖ (t=7.2595, d.f.=65, P〈0.01) 나. 양수내 AFP의 평균치 a. 정상군: 247.98±46.46 ng/㎖ b. 생리적 황달군: 367.46±30.45 ng/㎖ (t=8.8010, d.f.=65, P〈0.01) 4. 생리적 황달과 태아 체중사이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P〈0.05). 5. 임산부 혈청 및 양수내 AFP치와 분만횟수, 태아 성별 및 체중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었다(P〉0.05).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AFP levels in serum and amniotic fluid of normal prgnant women at or near term (37-42 weeks), and their significance as the possible index of the fetal liver maturity. Sixty seven paired serum and amniotic fluid were obtained from normal pregnant women between 37 and 42 weeks of gest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levels of AFP in maternal serum and amniotic fluid, radioimmunoassay had been performed using α-FETORIAKIT Ⅱ(PEG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eonatal physiologic jaundice developed in 13 cases(19.4%) from 67 cases. 2. AFP levels of maternal serum and amniotic fluid significantly decreased progressively to later pregnancy, and their equations to the weeks of gestation in normal and physiologic jaundice group were as follows: (Y=value of AFP, X=weaks of gestation) In maternal serum: a. normal group: Y=733.24-15.21X (R=-0.5051, t=4.220, d.f.=52, P〈0.05) b. physiologic jaundice group: Y=1,035.72-20.57X (R=-0.5703, t=2.303, d.f.=11, P〈0.05) In amniotic fluid: a. normal group: Y=1,095.23-21.36X (R=-0.6310, t=5.865, d.f.=52, P〈0.05) b. physiologic jaundice group: Y=1,044.13-17.28X (R=-0.7632, t=2.483, d.f.=11, P〈0.05) 3. AF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hysiologic jaundice group than normal group (P〈0.01), and their mean levels of AFP in maternal serum and amniotic fluid were as follows: In maternal serum: a. normal group: 128.61±41.51 ng/ml b. physiologic jaundice group: 230.15±48.51ng/ml In amniotic fluid: a. normal group: 247.98±46.46 ng/ml b. physiologic jaundice group: 367.46±30.45 ng/ml 4.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neonatal physiologic jaundice and fetal body weight (P〉0.05). 5. There was no correlation of mean AFP level to parity, sex and body weight of fetus (P〉0.05).-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상 임산부에 있어서 신생아 생리적 황달발생과 모체 혈청 및 양수내 AFP치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maternal serum and amniotic fluid alpha-fetoprotein(AFP) and their relations to neonatal physiologic jaundice-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1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e Hyu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