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724

Cited 0 times in

위암의 진행에 따른 DNCB 반응, 말초혈액 임파구수 및 로젯형성 임파구 수의 변화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엽-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6:43Z-
dc.date.available2015-11-20T05:16:43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53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Foley(1953)의 동물실험과 Prehn 및 Main(1957)의 동물실험으로 종양특이이식항원이 증명된 후 암에 대한 면역성의 연구가 보다 활발해졌으며, Everson 및 Cole(1956)이 사람에게 종양의 자연치유현상을 문헌을 통해 수집 보고한 후부터 암에 대한 숙주의 면역성을 밝히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이후 면역성에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 관여함을 알게되고, 특히 Wilson(1965)은 종양 이식 거부반응에 체액성 면역이 일부 작용한다고 하나 Hellstrom 및 Hellstrom(1969)은 종양면역에 근본적으로 세포성 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Sokal등 (1961)은 Hodgkin's disease나 lymphosarcoma에서 세포성 면역이 감소함을 보았고, Krant등(1968)은 폐암에서, Eilber 및 Morton(1970)은 각종 암의 재발환자에서, Chakravorty등(1973)은 각종 비임파계 암환자에서 그 세포성 면역이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더우기 Bone등(1974), Catalona등(1972) Dellon등 (1975) 및 Eilber등(1975)은 암의 병리조직학적 진행에 따라 환자의 면역상태가 저하됨을 보고하였다. 세포성 면역반응을 볼 수 있는 방법은 생체내 검사법으로 candida, mumps,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s)등에 의한 피부반응 검사와 DNCB(2, 4-dinitrochlorobenzene)등에 의한 지연성 피부 과민반응 유발능력의 검사와, 피부이식 거부반응도 검사가 있으며, 생체의 검사법으로 임파구 자극에 의한 임파구의 아세포화 현상을 보는 법과 대식세포 유주억제 검사와 면양적혈구를 이용한 로젯형성도 검사가 있다. 본 저자는 위암환자 43명을 대상으로 말초혈액 임파구수 및 로젯형성도의 측정과 동시에, 이중 30명을 대상으로 DNCB 반응검사를 시행하고 위암의 병리조직학적 진행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NCB에 대한 과민반응 결과는 stage진행 정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으나 stage Ⅰ 및 Ⅱ에서 무반응 환자를 관찰할 수 없는 반면 stage Ⅲ 및 Ⅳ에서는 각각 3명 및 2명의 무반응 환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무반응환자는 위암환자 30명중 5명으로 16.7%였고 이중 2명에서 절제술이 불가능했다. 2. 위암환자의 말초혈액 임파구수는 건강인 대조군에 비하여 stage Ⅲ 및 Ⅳ에서 감소(0.005<P<0.01 및 P<0.005)하였으나 stage진행에 따른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3. 본 관찰에서는 total T-임파구나 active T-임파구의 수 및 백분율의 변화는 stage의 진행과 의의있는 관련이 없었다. 4. 수술후 계속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21명중 stage Ⅰ 및 Ⅱ의 9명은 말초혈액 임파구수 및 로젯형성 임파구수가 수술직후 1∼2주간 일시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가 2∼3주후 회복하여 수술전 수치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 유지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5. Stage Ⅲ 및 Ⅳ의 12명은 수술직후에 말초혈액 임파구수 및 로젯형성 임파구수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stage Ⅰ 및 Ⅱ의 9명과는 달리 수술전 수치 혹은 그 이상으로 증가하지 뭇하고 대부분에서 수술전 이하의 수치로 지속됨을 나타내었다. 이 12명중 4명은 수술 후에 수술전 수치 이상으로 증가된 것을 보였는데 그들의 증가도는 stage Ⅰ 및 Ⅱ에서 보다 다소 완만하였다. 6. 재발 혹은 사망이 확인된 7명의 total T-임파구수 및 active T-임파구수의 변화에서 의의있는 정도는 아니나 active T-임파구수가 다소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추후 더욱 관찰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For the assessment of cell-mediated immunity of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lymphocytes from peripheral blood of 43 patients with varying stages (T.N.M. stages) of stomach cancer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and number and percentage of lymphocytes able to form rosette with sheep eryhtrocytes. In addition, delayed hypersensitivity skin test with DNCB was performed to 30 out of 43 pati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 to DNCB skin test among the 30 patients in various stages of stomach cancer can be observed. However, all of 5 patients (16.7%) with anergy to DNCB were from patients in advanced stages; 3 from stage Ⅲ and 2 from stage Ⅱ. 2. Ennmeration of the number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individual sand the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in stages Ⅲ and Ⅳ. But no significant changes following the advancing of stages was seen. 3. The percentage and the absolute number of total or active T-lymphocytes were not significantly reduced by advancing of stomach cancer. 4. In the stages Ⅰ and Ⅱ, the number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r the E-rosette cells were decreased within 1-2 weeks post-operatively, but they were recovered and increased with-in 2-3 weeks post-operatively over the level of pre-operative value. 5. In the stages Ⅲ and Ⅳ, the number of peripheral blood lmphocytes or the E-rosette cells were decreased within 1-2 weeks post-operatively, and they were persistantly below the level of pre-operative value in general. And 4 of the 12 patients in the stages Ⅲ and Ⅳ showed the increased level post-operatively, but their recovery was somewhat slower than that of stages Ⅰ and Ⅱ. 6. In the 7 cases of recurrent or expire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the active T-lymphocyte was seemed to be more sensitive than that of the total T-lymphocyt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위암의 진행에 따른 DNCB 반응, 말초혈액 임파구수 및 로젯형성 임파구 수의 변화-
dc.title.alternativeDNCB (2,4-dinitrochlorobenzene) sensitization test, peripheral blood lymphocyte count and rosetie formation test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570-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eob-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