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51

Cited 0 times in

대합치 발치에 의한 기능 변화가 흰쥐 대구치의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철-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6:29Z-
dc.date.available2015-11-20T05:16:2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528-
dc.description치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흰쥐 대구치에서는 일생동안 생리적 이동이 일어나며 상악 대구치의 발치에 의하여 쉽게 기능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일어나는 치주조직의 변화는 주로 하악 제 1대구치의 설측근과 원심근에서 이루어져왔다. 이에 기능의 변화가 각 치근의 이동방향과 하악골의 외형에 미치는 영향과 하악골의 가장 전방에 위치한 근심근에서 치주조직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흰쥐의 상악 대구치를 발거하여 동측의 하악 대구치를 기능저하의 상태로, 반대측의 하악 대구치를 기능항진의 상태로 유도하였다. 골의 신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calcein, tetracycline, alizarin red S를 1주일 간격으로 복강내 주사하였으며 주사한 동물들은 발치 8주후에 희생하여 하악 제 1대구치를 포함하는 비탈희 표본을 제작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나머지 동물들은 발치 1, 2, 4, 8주 후에 희생하여 근 심근과 주위 치조골의 절편을 제작하고 치조골 표면의 상태와 치주인대의 폭과 면적을 계측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치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하악골의 설측은 평탄하고 협측은 풍융한 표면을 나타내었으며 하악 제 1대구치의 근심근은 근심협측으로, 원심근은 원심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2. 하악 대구치의 기능저하시 하악골은 근심단이 뽀족하고 협설측이 모두 평탄해졌으며, 근심근은 원심설측으로 느리게, 나머지 근들은 원심으로 급속히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3. 기능저하 1주군의 근심근에서는 골개조대 표면의 세포가 괴사되면서 이 부위의 치주인대가 붕괴되는 소견을 보이나 시간에 따라 점차 회복되었다. 4. 기능저하군외 치조골 표면에서는 골개조대가 감소하고 노출대가 증가하였으며 골개조대 내에서는 반전부위가 증가하고 골형성이 감소하였다. 기능항진군의 경우에는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5. 기능저하군의 치주인대는 그 면적과 폭이 발치 1, 2주 후에 크게 감소하였으나 기능항진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6. 기능저하군에서는 근심근이 치조와내에서 골개조측을 향해서, 기능항진군에서는 골형성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하악 제 1대구치의 근심근은 그 생리적 이동방향이나 치조골 개조의 양상이 나머지 치근들과는 다르며 기능저하에 의하여 나타나는 반응도 상이하였다. 이러한 반응에는 골개조와 치주인대의 성상뿐 아니라 치근의 이동방향과 하악골의 외형까지 포함되었다. 따라서 기능저하는 치주인대 개조의 변화를 통하여 치아의 이동방향을 변화시키고 이 결과 골개조 양상과 골외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기능항진은 치근 이동방향을 제외하고는 큰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치주조직의 적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문] The mandibular molars of the rat undergo continuoua physiologic migration. The extraction of the mandibular molar has been used as a method to induce a functional change. The periodontal changes caused by hypofunction have been obBewed costly in the lingual and distaff root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unctional change upon the direction of migration in each root the extemal contour of the mandible, and the periodontal change in the mesial root of mandibular 1st molar, the maxillary molara of the rat were extracted. Calcein, tetracydin, alizarin red S were alternatively injected every week intraperitoneally to confirm the new bone form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8 weeks after extraction and non-decalcified sections including the mandibular first molar were examined under fluoromicroscope. The other animals were sacrificed1, 2, 4, 8 weeks after extraction and semithin sections of the mesial root were made. The length of the histological zones in the sur77ce of alveolar bone, and the width and area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ere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ndible of non-extracted control group was 7at in the lingual surface and convex in the buccal surface. The mesial root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was observed migrate mesiobucrally, with the other distally. 2. Under hypofunction the mandible was to get the contour with the both surface flat and the mesial apex pointed. The direction of migration in the mesial root changed to distolingual. 3. One week after extraction, the necrosis of the cells and degeneration of collagen fibers were observed in the surface of the hypoufunctional alveolar bone. 4. In the hypofunction group, the length of remodeling zone decreased and that of the denuded zone increased. In the remodeling zone, the area of reversal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bone formation area. The hyperfunction group showed no difference to the control group. 5. The width and area of the periodontal ligament in the hypofunction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6. The mesial root of hypofunction group had a tendency to migrate toward the remodeling zone within its own alvelar socket, while in the hyperfunction group, toward the modeling zone. The findings from the above study revealed that the mesial root of mandibular first molar is different to the other roots in the direction of migration, the pattern of alveolar bone remodeling, and the response to functional force. The responses include the change of the direction of migration and the contour of the mandible as well as the remodeling pattern of alveolar bone and the property of the periodontal ligament. Hypofunction modifies the remodeling patter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by which the direction of tooth migration is altered, and as a result, the remodeling of alveolar bone and the external contour of the mandible is affected. The periodontium has an ability to adapt to hyperfunction, in which any other change than the direction of migration is not provok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대합치 발치에 의한 기능 변화가 흰쥐 대구치의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functional change induced by extraction of opposite molars upon the periodontium of mandibular 1st molar in ra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eung Chol-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