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719

Cited 0 times in

비갑개 점막의 선조직에 대한 조직화학적 연구

Other Titles
 Histochemical study of glandular tissues on human nasal mucosa 
Authors
 이석용 
Issue Date
1989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비강의 중요한 생리 기능중 하나인 호흡작용을 위해서는 흡입공기에 대한 자가정화 및 방어작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비강점막을 덮고 있는 점액층의 역할이 중요하다. 점액층에서 생리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 위해서는 섬모의 활성, 점액, 섬모와 점액의 상호작용의 3요소가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그 중 점액은 분비되는 양, 분비액의 유동역학적 특성이 적절히 유지되어야 하나 점액의 조직화학적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인간의 하비갑개와 중비갑개 점막의 선조직에 대한 조직화학적 검토를 통하여 1)

비갑개 부위에 따른 선조직 밀도, 2) 선조직에 함유되어 있는 당단백질의 구성성분, 3) 당단백질에 함유된 과당류 chain의 동정을 만성부비동염군과 대조군에서 비교관찰함으로써 생리기능적 측면에서 비갑개 부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병적상태에서의 당단백질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으로는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임상 및 이학적 소견상 만성부비동염 진단하에 부비동수술을 받은 환자 36예에서 수술시 채취한 하비갑개 점막과 중비갑개 점막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비강내 염증이 없었던 환자20예에서 채취한 하비갑개 및 중비갑개점막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점막고유층 선조직에 함유되어 있는 당단백질의 조직화학적 성분을 관찰하기 위해 Jones 및 Reid의 방법으로 산성과 중성당단백질을 구분할 수 있는 pH 2.5 alci

an blue-periodic acid Schiff, 그리고 산성당단백질 중 sulfomucin을 동정하기 위하여 pH 1.0 alcian blue-periodic acid Schiff 염색을 각각 시행하였고, 당단백질내 과당류 chain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속절편을 6종류의 biotin 결합 lectin(Vector Co.)을 이용하여

ABC(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법으로 염색하였으며, 각각 하비갑개와 중비갑개의 부위에 따른 차이 및 만성부비동염 유무에 따른 차이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1. 비갑개 선조직의 밀도는 부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만성 부비동염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2. 선조직에 함유되어 있는 중성 및 산성당단백질은 부위별 및 염증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fucomucin인 중성당단백질이 산성당단백질보다 많았으며 산성당단백질중에서는대부분이 sialomucin이었다.

3. 선조직에 대한 lectin반응에서는 부위별 및 염증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UEA-I은 특이하게 선조직에 강한 반응을 보였다. 그 외에 WGA와 RCA-I는 선조직 및 주위 조직에서 비교적 강한 반응을 보였으며 DBA과 PNA는 선조직 일부에서 경도의 반응을 보였으며, SBA는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비갑개 모든 부위가 동일하게 분비기능에 관여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염증시에 선조직 밀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만성부비동염시 나타나는 점액성 비즙과다와 점막부종의 기전의 일부를 규명할 수 있었다. 한편 선조직 당단백질은 주로 중성당단백질(fucomucin)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성 당단백질에서는 sialomucin이 비교적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영문]

There were few studies of glandular tissues on human nasal mucosa.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landular area in various sites of turbinates, composition of glycoproteins in gland, and terminal sugar of

oligosaccharides chain of glycoproteins on 20 normal adults and 36 patients with chronic sinusitis.

Glandular tissues in antieior, middle, and posterior portion of inferior and middle turbinate were stained by the AB-PAS method and lectin immunohisto chemistry. The area of glandular tissues in various sites of turbinates on both gorup was measured with YAP. 1.0 program by the light microscope. And then we compared about two groups.

The results were followed.

1. The mean area of glandular tissues was not different in various sites of turbinates, but the of glandular tissues in patients with chronic sinusit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at in normal control.

2. Neutral glycoproteins were more than acid glycoproteins and most of acid glycoproteins was sialomucin. But the composition of glandular tissues was not different on both group.

3. At the lectin immunohistochemstry, glandular tissues were positive for WGA, RCA and no differnce of lectin reactivity on both group.

In conclusion increase of glandular tissues in patients with chronic sinusitis suggested to be one of pathophysiology of mucoid rhinorrhea, which is important symptom of chronic sinusitis. Glycoproteins of glandular tissues were mainly

composed of neutral glycoportein which was fucomucin. Finally, additional carefully planned prospective studies correlating the morphologic with clinical data are need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glandular func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451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49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